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한인과학자, 줄기세포 치료 첫 성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66031a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0pixel, 세로 560pixel

김광수 교수 연구팀이 줄기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에 이식하는 수술을 하는 모습 [사진 KAIST]

 
한국인 과학자가 미국에서 유도만능줄기세포(iPS) 기술을 이용해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줄기세포를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KAIST김광수 미 하버드 의대 교수가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 임상 치료에 성공했다2일 밝혔다. 김 교수는 KAIST 생명과학과에서 석ㆍ박사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연구를 계속했다. 신경과학과 줄기세포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으로 꼽힌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660000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0pixel, 세로 524pixel

맞춤형 줄기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 모식도[사진 KAIST]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뇌 질환 환자에 이식해 임상 치료 효과까지 낸건 이번이 처음이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신경세포ㆍ혈액세포ㆍ근골격 세포 등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로 분화가 가능해 만능 줄기세포로 여겨진다. 김 교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 2017부터 2년 동안 두 차례에 걸쳐 69세 파킨슨병 환자에게 줄기세포를 이식했다. 환자의 피부세포를 변형해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을 생성케 한 후 이를 환자의 뇌 깊숙이 주입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2년 동안 PET, MRI 영상 등으로 경과를 지켜본 후 지난 5월 이와 관련한 논문을 발표했다. 환자는 면역 체계 거부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스스로 구두끈을 다시 묶을 수 있을 정도로 회복됐다. 수영과 자전거를 탈 정도로의 운동 능력까지 회복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660000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0pixel, 세로 197pixel

피부 세포(맨 왼쪽) 유도만능줄기세포(가운데), 도파민 뉴런(맨 오른쪽) [사진 KAIST]

 
수술을 받은 환자는 조지 로페즈(George Lopez) 씨로맞춤형 줄기세포의 신속한 연구와 파킨슨병 정복을 위해 애써 달라며 김 교수 연구팀을 꾸준히 지원했다고 한다.
 
이러한 수술과 임상 성공은 하루 아침에 이뤄진 성과는 아니다. 파킨슨병의 맞춤형 줄기세포 치료는 일단 환자의 체세포를 안정적으로 줄기세포로 전환한 뒤, 이를 다시 도파민 세포로 분화시킨 후 뇌에 이식해야 하는 까다로움이 뒤따른다. 20년간 관련 기술을 연구한 김 교수는 10여 년 전 이미 바이러스를 사용하지 않고 환자의 세포를 이용해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제작하는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 이를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 적용해 성과를 입증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660000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0pixel, 세로 373pixel

김광수 하버드 의대 교수 [사진 KAIST]


김 교수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할 수 있도록 FDA에 승인을 신청했다”10여 년 정도 후속 연구를 계속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맞춤형 세포치료가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또 하나의 보편적인 치료 방법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성과는 의학 분야에서 권위있는 저널로 꼽히는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에 지난 5월 게재됐다.

[출처: 중앙일보] 자전거 탄 파킨슨 환자한인과학자, 줄기세포 치료 첫 성공

 https://news.joins.com/article/2379147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5 김재훈 교수, Molecular Cell 게재 (2013.3) 과사무실 2013.04.01 14695
224 김재훈 교수, 강현아, 권부기 학생 '청암과학펠로' 선정 과사무실 2011.11.04 20740
223 김정진 Post-doc(김대수 교수 lab), 2011 일본뇌신경학회 Travel Award 수상! 과사무실 2011.06.17 14167
222 김정현 박사과정 학생 (최길주 교수님 lab), AOCP 2015 우수 포스터상 1등 수상! / Junghyun Kim (PhD Candidate; Giltsu Choi's lab) won the Best poster award at AOCP 2015. file 생명과학과 2015.12.11 18645
221 김정회 교수, 한국생명공학연합회 초대 회장에 선출 / Professor Jung-Hoe Kim elected to the first president of Korea association of Bioenginiering file 생명과학과 2016.08.26 19812
220 김진우 교수 경력개발상 수상 과사무실 2007.04.10 16480
219 김진우 교수, EMBO Journal 에 논문 게재 (2012.2.15) 과사무실 2012.02.16 14281
218 김진우 교수, 교과부 '글로벌연구실 사업'의 신규 지원과제에 선정! 과사무실 2009.06.25 14812
217 김진우 교수, 김남석 박사 eLife지 논문 발표 (2014. 9) 과사무실 2014.09.11 15415
216 김진우 교수, 김예하 박사 eLife 지에 논문 게재(2017.01) / Prof. Jin Woo Kim, PhD. Yeha Kim published a paper in eLife(2017.01) 생명과학과 2017.02.03 13825
215 김진우 교수, 김형태 박사 Cell Reports에 논문 게재(2015.10) / Professor Jin Woo Kim and Hyung-Tai Kim Ph.D. published paper in Cell reports (2015.10) file 생명과학과 2015.10.29 19610
214 김진우 교수, 노인성 망막퇴행질환 핵심 단백질 찾았다 과사무실 2008.11.18 14351
213 김진우 교수, 문경환 박사과정학생 Developmental Cell 게재-'Nf2 종양억제유전자' 새로운 기능 발견 생명과학과 2017.12.18 13192
212 김진우 교수, 발달과정 세포 간 정보전달 원리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19.07.23 8074
211 김진우 교수, 하태정 박사과정 학생, 새로운 Notch 신호 유발자로써의 망막색소상피세포 기능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17.04.12 14427
210 김진우 교수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18 3209
209 김진우 교수님_생명의 신비상 장려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0.12.24 3753
208 김찬혁 교수님_인공지능 이용 면역항암 세포 3차원 분석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3317
207 김학성 교수, 2010년 한국바이오칩학회 학술대상 수상! 과사무실 2010.11.01 12968
206 김학성 교수, Molecular Therapy에 표지논문 게재 (2014.7) 과사무실 2014.07.09 13198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