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Shin, J., Kim, K., Kang, H., Zulfugarov, I., Bae, G., Lee, C., Lee, D., and Choi, G. (2009) Phytochromes promote seedling light responses by inhibiting four negatively- acting phytochrome-interacting factors. PNAS, Apr 20 [Epub ahead of print]

빛이 있다고 생각하는 pif quadruple mutant

생명과학과 신지은 박사, 김근화 학생, 그리고 최길주 교수는 파이토크롬 상호작용 단백질로 알려져 있는 4개의 PIF들이 엽록소 합성을 포함한 모든 빛에 대한 반응을 음성적으로 조절하고 있다는 것을 보이고, 파이토크롬은 이들 4개의 PIF들의 억제하여 빛에 대한 반응을 유도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런 사실은 4개의 PIF 유전자들이 모두 망가진 4중 돌연변이체 (pifQ)는 빛이 없어도 마치 빛이 있는 곳에서 자라는 것처럼 자란다는 사실과,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통해, pifQ 돌연변이체는 빛에서 자란 식물과 유사한 유전자 발현 패턴을 보인다는 것을 보임으로서 증명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PNAS 4월호에 발표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9 강창원 교수 교무처장 인사발령 과사무실 2004.08.03 12320
128 강은채 학생 창의활동상 수상 과사무실 2004.02.20 12810
127 靑 과기보좌관에 '여성과학인' 이공주 교수 임명 file 생명과학과 2019.02.22 5225
126 故 박태관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과사무실 2011.04.11 13094
125 故 박태관 교수가 남기고 간 '흔적'…세계적 학술지 '주목' 과사무실 2011.05.12 15317
124 ‘올해의 KAIST 교수상’ - 김재섭 교수 과사무실 2005.12.30 13424
123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416
122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391
121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124
120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353
119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197
118 [한국의 AI 추격자들] 서범석·백승욱 루닛 창업자 file 생명과학과 2020.10.30 2109
117 [한국경제] 한국인 생명과학자가 최근 발표한 주요 연구 과사무실 2006.11.13 17159
116 [한국경제] 고규영 교수 유력 바이오논문 6편 최다 발표 과사무실 2005.09.02 11835
115 [한국경제] STRONG KOREA-한국인 과학자가 뛴다...생명과학 과사무실 2006.11.13 16997
114 [한겨레] 생체시계 시간 맞추는 유전자 국내 연구팀이 첫 발견-김재섭 교수팀 과사무실 2005.10.20 10863
113 [한겨레] BK21 중간평가: 최우수사업단으로 선정 과사무실 2004.12.09 11244
112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378
111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643
110 [중앙일보] 생명과학과 박지혜 '로레알 여성생명과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6.06.22 13363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