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조회 수 12000 댓글 0

“비 표지방식에 의한 단백질 활성의 고감도 측정기술 개발”
KAIST 김 학성 교수, 독일화학誌 (Angewandte Chemie)에 발표

- 나노입자와 이차 이온 질량 분석방법을 이용한 단백질 활성의 정성 및 정량분석 기술 개발
- 세포 내에서 단백질 수식(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및 신호전달 연구와 신약 후보 물질의 스크리닝 등 생명공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반 기술


KAIST 생명과학과 김학성 (金學成, 교수) / 김영필 (金英必, 박사과정) 연구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나노바이오융합연구단 이태걸 박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이차이온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단백질 활성 분석방법“이란 제목으로 관련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Angewandte Chemie 誌 8월 1일자로 인터넷판에 발표하였다.

생체 내에서 단백질의 수식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에 관련된 다양한 단백질 및 효소는 세포내 신호전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세포의 분열, 성장, 사멸과정을 정교하게 조절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키나제 (protein kinase) 는 단백질의 특정아미노산을 인산화 시켜 세포 내 다양한 신호전달 및 질병 메카니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백질의 수식에 관련된 단백질의 활성을 고감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세포내 신호전달 기작은 물론 신약개발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金 교수팀은 단백질 키나제(protein kinase)를 대상으로 금 나노입자 (gold nanoparticle)와 이차이온 질량분석기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를 활용하여 고감도로 정확하게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고 동시에 단백질 저해제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칩 표면에 금나노입자를 부착하고 생체물질을 결합한 후 이온 빔을 조사하게 되면 생체물질의 질량신호를 얻을 수가 있는데 단백질 키나아제의 기질로서 사용되는 펩타이드의 질량신호가 금 나노입자에 의해 수 십배 증폭되는 점에 착안하여 단백질 키나아제의 활성을 고감도로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측정기술은 다른 측정방법에 비해 표면 감도가 매우 우수하여 단위면적당 (mm2) 수십 펨토몰 (fmol) 수준의 생체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金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은 단백질 키나아제 이외에도 포스포타제 (phosphotase), 프로티아제 (protease), 아세틸라아제 (acetylase), 메틸전이효소 (methyltransferase) 등을 포함한 단백질 수식에 관련된 다양한 단백질 및 효소의 활성을 고감도로 측정하거나 빠르게 스크리닝할 수 있기 때문에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단백질 활성 저해제 (inhibitor)를 손쉽게 탐색할 수 있어 신약개발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기술은 현재 국내특허 등록을 완료하였고 미국특허 출원 중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2 김세윤 교수, '공포기억 소거'조절 효소 발견 file 생명과학과 2019.02.08 7397
271 생명과학과 이문수 박사(이노테라피 CEO) 지혈제로 240억 '주식 갑부' file 생명과학과 2019.02.07 6661
270 김학성 교수, 세포 내 단백질 전달 효율 높이는 DNA 기반 나노구조체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1.21 5796
269 허원도 교수,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1.21 5644
268 허원도 교수, 변화무쌍 스위치 단백질 관찰하는 바이오센서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1.16 6997
267 전상용,이대엽 임성갑 교수, 암 줄기세포 제작 원천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8.11.30 6712
266 김학성 교수, 빛에 의해 스위치처럼 작동하는 단백질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8.08.28 8371
265 한진희 교수, 선천적 공포 반응에 대한 신경회로 첫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18.08.08 11294
264 서라민 박사과정 학생. 제 18차 KHUPO 프로테오믹스 국제학술대회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8.04.30 13693
263 인선아 박사과정 학생. 제 18차 KHUPO 프로테오믹스 국제학술대회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8.04.13 12775
262 김은준 교수, '아산의학상' 기초의학 부문 수상자로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18.01.16 11403
261 김진우 교수, 문경환 박사과정학생 Developmental Cell 게재-'Nf2 종양억제유전자' 새로운 기능 발견 생명과학과 2017.12.18 11367
260 '마크로젠 과학자상'에 카이스트 김진우 교수 선정 생명과학과 2017.09.12 15980
259 임대식 교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에 임명 file 생명과학과 2017.09.01 15087
258 이중재 박사와 김학성 교수 연구팀, Theranostics에 표지 논문 발표 file 생명과학과 2017.08.18 12644
257 허원도 교수, 박혜림 박사, 김나연 박사과정 학생 Nature Communications지 논문 게재(2017.06) file 생명과학과 2017.06.26 16605
256 최광욱 교수님 실험실 목정완 박사과정 학생, '2017 페임랩 코리아’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17.05.15 21347
255 김세윤 교수, 김은하 박사과정 학생 Science Advances 논문 게재(2017.04) / Prof. Seyun Kim and Eunha Kim, a Ph.D.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Science Advances (2017.04) new new 생명과학과 2017.05.01 15675
254 김진우 교수, 하태정 박사과정 학생, 새로운 Notch 신호 유발자로써의 망막색소상피세포 기능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17.04.12 12504
253 이승희 교수, 송유향, 김재현 박사과정 학생 Neuron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17.02.13 17753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