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유전정보·질병 연관성 규명 열쇠

연세대 의과대학 환경의생물학교실 김형표 교수(왼쪽)와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조원기 교수/사진 제공=세브란스병원


 

세포의 특정한 역할을 규정하는 유전자 발현 과정에서 핵심 기능을 하는 단백질이 확인됐다.

 

연세대 의과대학은 김형표 환경의생물학교실 교수팀이 조원기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팀과 세포 고유 기능을 결정하는 전사 상분리체 형성에서 CTCF 단백질의 역할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신체를 구성하는 세포는 동일한 유전정보를 보유하는 동시에 고유 기능을 수행한다. 고유 기능을 가지려면 분화 과정에서 세포 정체성을 결정하는 유전자 발현이 필요하다. 이 때 ‘슈퍼-인핸서’(Super-enhancer)가 만드는 유전자는 세포 기능에 필수일 뿐 아니라 암, 발달장애 등 질병 발생에도 관여한다. 슈퍼-인핸서가 유전자 발생에 관여할 때는 RNA 중합효소 등 다양한 전사인자들이 참여하는데, 특히 슈퍼-인핸서에 붙어있는 단백질이 상분리를 통해 ‘전사 상분리체’를 형성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알려졌다. 상분리란 한 공간에서 농도가 다른 물질이 완전 분리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전사 상분리체의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연구팀은 슈퍼-인핸서가 염색질 3차 구조에 의해 기능을 제한 받는다는 사실에서 염색질 3차 구조의 핵심인 CTCF 단백질이 전사 상분리체에 끼치는 영향을 검증했다./사진 제공=세브란스병원


 

연구팀은 DNA 전사 복제를 조절하는 염색질 3차 구조가 슈퍼-인핸서의 기능을 제한한다는 사실에 착안, CTCF 단백질이 전사 상분리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CTCF는 유전체의 나머지 부분과 이질 염색질을 분리하는 분자장벽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CCCTC 결합인자로서 염색질의 3차 구조를 결정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DNA 내 염기서열을 교정하는 크리스퍼 가위를 이용해 세포에서 CTCF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상분리체를 만드는 개개의 단백질에 형광 물질을 부착해 초고해상도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세포주를 제작했다. 세포주는 생체 밖에서 배양해 실제와 동일한 세포집합을 의미한다.

 

염기서열분석 기술을 이용한 염색질 구조 분석과 초고해상도 형광이미징을 통해 실시간 상분리체를 관찰한 결과 CTCF 유무에 따라 유전자가 위치한 염색질 3차 구조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했다. CTCF가 결정하는 염색질 3차 구조가 전사 상분리체 형성을 직접 조절한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유전자 변이를 찾아내기 위한 1차원적 염기서열 분석, 전사 조절 부위 발굴을 위한 2차원적 후성유전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수준에 머물던 유전자 연구의 패러다임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옥스퍼드 대학에서 발간하는 핵산 연구(Nucleic Acids Research) 최신호에 게재됐다.

 

김형표 연세대 의대 교수는 “유전자가 존재하는 공간과 시간적 변화를 연구하는 4차원적 단계로 올라서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개인의 유전적인 정보 등 생물학적 특성은 물론 유전자와 질병 간 연관성을 밝히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2VEL0J3B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2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386
391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624
390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423
389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632
388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525
387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470
386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600
385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404
384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407
383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529
382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489
381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456
380 [조병관 교수님] 이산화탄소 흡수해 아세트산 만드는 '친환경 미생물' 5종 발견 생명과학과 2022.06.17 2777
379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802
378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713
377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813
376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422
375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446
374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917
373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8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