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스트레스로 악화 '근긴장이상증' 억제 신약 개발…수술없는 약물치료 기대


KAIST "다양한 운동 질환에도 적용 기대"



세로토닌에 의한 근긴장이상 발생경로 규명.



 KAIST 제공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김대수 교수 연구팀이 스트레스로 악화할 수 있는 근긴장이상증의 정확한 표적을 찾아내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신규 약물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근긴장이상증은 의지와 무관하게 근육의 긴장이 증가하며 통증과 함께 몸의 일부 또는 전신이 뒤틀리는 세계 3대 운동 질환 중 하나로 연구팀은 환자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증상이 심해지는 것에 주목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전신에서 근긴장이상증을 나타내는 동물모델을 활용해 어떻게 스트레스가 근긴장이상증을 유발하는지 연구했다. 그 결과 스트레스를 받으면 세로토닌 신경의 활성이 증가해 세로토닌 분비가 늘어나며 늘어난 세로토닌은 5HT2A 라는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해 근육을 긴장시킴을 밝혔다.



근긴장이상증 신약 효능검사 결과. KAIST 제공


이에 따라 세로토닌 신경을 차단하거나 5HT2A 수용체를 억제하면 근긴장이상증을 치료할 수 있게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기존 치료법으로 알려진 보톡스 주사의 경우 국소적인 근긴장이상에 적용할 수 있어 부위가 넓을 때 적용이 어려우며 내성이 생기면 투여량을 늘려야 한다. 또 다른 치료법인 뇌 심부 전기자극 수술(DBS)은 일부 환자들에게만 적용할 수 있으며 뇌수술의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수술 없는 약물치료가 가능하다면 환자들의 증상 관리와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게 되는 셈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김대수 교수. KAIST 제공


KAIST는 이번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설립된 신약 개발 회사 ㈜뉴로토브를 통해 근긴장이상증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 연구를 준비 중이다.

김대수 교수는 "근긴장이상증뿐 아니라 근육 통증 등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운동 질환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ttps://www.etnews.com/20210310000104

https://www.yna.co.kr/view/AKR20210310069700063?input=1195m

https://www.nocutnews.co.kr/news/551338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8 최길주 교수, PNAS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1.01.12 13317
147 박태관 교수, 2010년 '올해의 KAIST인 상' 수상! 과사무실 2010.12.28 12844
146 허원도 교수, 심장질환 원인신호 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사무실 2010.12.20 16199
145 도민재, 박재윤, 정현정 (박태관 교수 lab), 2010' 특허전략 유니버시아드 장려상 수상! 과사무실 2010.12.20 12848
144 김경란, 김민진, 김태형 (강창원 교수 lab) 2010’캠퍼스 특허전략 유니버시아드 대회 장려상 수상! 과사무실 2010.12.13 15912
143 강창원 교수, 2010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과사무실 2010.12.13 12229
142 한용만 교수(박상욱 박사과정), Blood 지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0.11.19 15867
141 강창원 교수, 2010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선정! 과사무실 2010.11.08 12528
140 김학성 교수, 2010년 한국바이오칩학회 학술대상 수상! 과사무실 2010.11.01 11975
139 김미영 교수, KAIST 이원조교수로 선정! 과사무실 2010.10.25 19780
138 김고운 박사과정생(조경옥 교수 Lab), 2010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우수 포스터상 수상 과사무실 2010.10.15 16090
137 김미영 교수, 박서영 박사과정생(Prof. Walton Jones Lab), '청암과학펠로' 선정 과사무실 2010.10.11 20223
136 학사과정 김혜림, 국립암센터 인턴쉽 포스터발표 최우수상 수상 과사무실 2010.09.07 14276
135 조홍석 박사과정 학생, Traveling Award 및 Best Presentation Award 수상 과사무실 2010.07.16 12424
134 이균민 교수, 교무처장 인사 발령 과사무실 2010.07.15 12421
133 임대식 교수, 세포분열시 MST1 kinase의 새로운 암 억제 기능 발견 (2010. 3) 과사무실 2010.07.09 12322
132 김대수 교수, PNAS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0.07.05 13236
131 임대식 교수, PNAS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0.04.21 12807
130 임대식 교수, 교과부 '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신규 지원과제에 선정! 과사무실 2010.04.21 13093
129 박태관 교수, 2010년도 삼성 고분자 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10.04.12 10690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