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dt.co.kr/http://www.dt.co.kr/우리나라가 새로운 미생물 박테리아를 찾아내는 데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부는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인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의 본격적인 활동에 힘입어 영국의 세계적인 미생물 학술지 IJSEM에 등록한 `2005년도 박테리아 신종' 발표건수에서 세계 1위를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미생물 다양성을 확보, `유전체 보물지도' 제작을 위한 확고한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고 과기부는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올해 전체 신규 발견 박테리아 494종 가운데 13.8%인 68종을 발견, 미생물 박테리아 부문의 강국인 일본(59종)과 미국(44종), 중국(42종), 독일(41종)을 제치고 수위에 올랐다.

이 가운데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은 전세계 발견 건수의 12.6%인 62종의 신규 박테리아를 발표, 중국과학원 미생물연구소(24종)보다 3배 가량 많은 실적을 거두며 해당 분야의 독보적인 존재로 부상했다고 과기부는 덧붙였다.

우리나라는 특히, 개발연구자 순위에서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윤정훈 박사가 32종을 발표, 지난해에 이어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한국과학기술원 이성택 교수도 14종으로 2위를 차지하는 등 선두권을 독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단 오태광 단장은 "최근 외국으로부터 공동연구 제안이나 미생물 제공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며 "향후 공동연구 등을 통해 효소와 기능성 미생물 등 정밀화학소재와 항생물질 등을 발굴한다면 국내 미생물 산업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타임스 2005-12-16 13:02 / 강희종기자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2203
64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2185
63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2171
62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2159
61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2081
60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2067
59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2057
58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2055
57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2046
56 [전상용 교수님] 탄수화물 나노입자로 염증성 장 질환 치료하다​ 생명과학과 2023.08.02 2039
55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2032
54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2031
53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2026
52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2017
51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2013
50 [허원도 교수님] 기억하고 인지하는 과정을 실시간 관찰하다 생명과학과 2024.01.10 1997
49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989
48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968
47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963
46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1953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