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생명과학과 Raghu P. Kataru 박사과정 학생은 세균 감염을 통한 피부 염증 모델 생쥐에서 임파관과 임파절이 항원 및 염증 소멸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CD11b+/Gr-1+ 대식세포로부터 유래된 VEGF-C, -D, -A 가 항원 및 염증 소멸 과정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관련 논문>
Raghu P. Kataru, Kim K, Jang C, Yang H, Reto A. Schwendener, BaiK JE, Han SH,K Alitalo, Koh GY. (2009). 염증성 임파관 형성과, 항원 및 염증 소멸 과정에서의 CD11b+ 대식세포와 VEGF 의 핵심적 역할 규명(Critical Role of CD11b+ Macrophages and VEGF in Inflammatory Lymphangiogenesis, Antigen Clearance, and Inflammation Resolution.) Blood In pres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허원도 교수님_빛으로 RNA 이동과 단백질 합성 조절한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2.20 3962
123 2020년 우수논문상 file 생명과학과 2020.04.03 3846
122 조병관 교수님 _Newly discovered metabolic pathway uses single carbon gases as a feedstock file 생명과학과 2020.11.20 3571
121 조병관 교수님_ 미생물 이용한 탄소 가스 활용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20.03.27 3401
120 전상용 교수님_ 면역항암제 효율 높인 나노입자 백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20.06.17 3173
119 김광수 석좌교수님_한인과학자, 줄기세포 치료 첫 성공 생명과학과 2020.06.03 3068
118 2020 Spring KAIST Compass 생명과학과 2020.05.07 2858
117 전상용교수님_항암제 표적 단백질을 약물 전달체로 쓴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8.26 2847
116 [조병관 교수님] 이산화탄소 흡수해 아세트산 만드는 '친환경 미생물' 5종 발견 생명과학과 2022.06.17 2719
115 [한국의 AI 추격자들] 서범석·백승욱 루닛 창업자 file 생명과학과 2020.10.30 2702
114 정원석 교수_ 삼성전자,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 맞아 연구원 노력 담은 영상 공개 생명과학과 2020.09.21 2554
113 정현정교수_ 커피링 효과로 감염병 신속진단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0.09.17 2296
112 서성배 교수님(김진은 석박사통합과정)_2020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5 1786
111 김대수 교수님_스트레스로 악화 '근긴장이상증' 억제 신약 개발…수술없는 약물치료 기대 생명과학과 2021.03.11 1727
110 김대수 교수님_ 카이스트 교수 `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브라이트) 출간 생명과학과 2021.05.04 1701
109 조병관 교수님_Antibiotic tolerance study paves way for new treatments 생명과학과 2021.02.19 1697
108 정원석 교수님_Astrocytes eat connections to maintain plasticity in adult brains 생명과학과 2020.12.28 1670
107 정원석 교수님_국내 연구진, 우리 뇌가 계속 일할 수 있는 이유 밝혀 생명과학과 2021.02.26 1582
106 김진우 교수님_생명의 신비상 장려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0.12.24 1488
105 정원석 교수님_KAIST, 신경세포의 흥분성 증가로 인한 뇌 질환 기제 규명 생명과학과 2021.06.03 1302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