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김대수 KAIST 교수 특별강연
구체적 목표가 뇌 전체 활성화
다른체계 경계에서 새지식 창조
예측불허 시대 최적 활용은 필수
한국인 이타적 뇌, 초격차에 유리
올해로 6회째를 맞는 대규모 ICT·과학기술 행사인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가 ‘기술패권 전쟁, 초격차가 답이다’를 주제로 13일 세종시 고려대 세종캠퍼스에서 열린 가운데 김대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세종=임세준 기자

“뇌는 본능적으로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발견해 나와 이웃, 자녀의 생존을 지키려고 합니다. 아직 개척되지 않은 미존(未存)공간을 아름다운 공간으로 만드는 것. 그게 초격차 시대 뇌의 임무입니다.”

김대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사진)는 13일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에서 열린 헤럴드경제 IT과학기술포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에서 급변하는 초격차 시대를 이끄는 뇌의 역할에 대해 이와 같이 강조했다.

김 교수는 ‘창의성과 초격차의 뇌과학’을 주제로 한 특별강연에서 “역사상 겪어 보지 못한 빠른 변화에 직면한 지금, 우리는 뇌 과학을 더욱 이해해야 한다”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뇌 기능을 통해 4차산업시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메타버스 등으로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예측불허의 시대에서 우리 뇌 기능을 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란 의미다.

▶“내 뇌에 맞게 세상을 바꾸려는 욕구가 원동력”=김 교수는 뇌가 인식하는 세상과 실제 팩트와의 간극이 문명의 발전을 이끈다고 강조했다. ‘인지부조화’가 일어날 때 ‘나의 생각’에 맞는 증거를 찾고 팩트를 바꾸려 하는 욕구가 기술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과학 기술 초격차를 위해서는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김 교수는 “다보스 포럼에서 어젠다만 설정해도, 모두가 새로운 산업에 대비해 기술 발전에 매진한다”며 “뇌의 위대한 기능을 전부 활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차원의 목표를 정확히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 목표 제시는 뇌가 창의성을 발휘하도록 하고, 이는 뇌 전체를 활성화시킨다는 의미다. 또한 실패에 좌절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창의적 뇌는 무언가에 실패하는 순간 발달한다”며 “일종의 ‘외상후 성장’으로, 실패의 순간은 다른 의미로 뇌를 발전시킬 수 있는 순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지식은 서로 다른 지식 체계의 경계에서 창조된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하늘과 우주의 경계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스페이스X’ 같은 우주산업은 하늘과 우주의 경계를 관광을 위한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미존공간이 새로운 공간으로 탄생하는 순간이다.

▶“뇌의 ‘메타인지’, 초격차의 핵심”=김 교수는 한국인의 뇌가 초격차 시대에 매우 적합하다고 언급, 청중의 흥미를 불러일으켰다. 그는 “우리는 배려를 기반으로 한 이타적인 뇌를 갖고 있다”며 “사회가 빠르게 변하면서 발생하는 사회적 갈등은 이런 배려심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뇌의 ‘메타인지’ 능력으로 연결된다. 메타인지란, ‘초월적’이란 의미의 ‘메타’와 대상을 아는 능력 ‘인지’의 합성어다. 뇌가 스스로를 알고 판단하는 능력을 뜻한다. 그는 “소크라테스가 ‘너 자신을 알라’고 한 것은 뇌 과학적으로 보면 ‘너 자신의 뇌를 알라’는 뜻과 같다”며 “나의 편견과 이기심을 내려놓을 때 비로소 보다 가치 있는 지식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본래 이기적인 뇌를 어떻게 이타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 김 교수는 ‘나(self)’를 확장하는 개념을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신경의 연결로써 존재하는 나는, 동시에 신경의 연결을 통해 확장될 수 있다”며 가짜 팔 실험을 예로 들었다. 그는 “고무장갑도 마치 나의 일부처럼 생각할 수 있듯, 남을 내 몸과 같이 생각할 때 이타적인 아이디어와 실천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뇌 과학을 통한 초격차 시대 경쟁력 강화를 강조했다. 그는 “수천년간 인류의 뇌는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뇌 과학 지식을 활용하면 창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높은 차원의 앎’을 추구하는 능력이 초격차 시대에서 필수”라고 끝맺었다. 세종=김민지 기자

jakmeen@heraldcorp.com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71400045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2 송지준교수, 조수민 연구교수, 장주원 박사과정학생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20.01.02 57101
431 허원도,김대수,한용만 교수 공동연구팀,Nature Biotechnology지에 표지논문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15.10.12 40814
430 박혜림 학생 (허원도 교수님 Lab), 제1회 다카라 우수논문상 수상! / Hyerim Park (Won Do Heo's lab) won the first Takara outstanding paper award! file 생명과학과 2015.10.07 27589
429 KAIST iGEM팀(조병관 교수 지도) 2012 World Championship 진출 file 과사무실 2012.10.12 21722
428 최광욱 교수님 실험실 목정완 박사과정 학생, '2017 페임랩 코리아’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17.05.15 21347
427 [KAIST NEWS] 이준식 교수 정년퇴임 과사무실 2003.09.18 20797
426 허원도 교수, Nature Methods 게재 (2014. 5) 과사무실 2014.05.08 20340
425 전상용 교수, 몸 속 물질 이용한 염증 치료제 개발 / Prof. Sang-Yong Jon developed anti-inflammatory drug using biological materials 생명과학과 2016.06.15 19995
424 최길주 교수, The Plant Cell 게재 (2013.12) 과사무실 2013.12.17 19573
423 최길주 교수, 이나영 박사 The Plant Cell 게재(2015.08) / Prof. Giltsy Choi and PhD. Nayoung Lee published a paper at The Plant Cell 과사무실 2015.08.19 19403
422 김미영 교수, 박서영 박사과정생(Prof. Walton Jones Lab), '청암과학펠로' 선정 과사무실 2010.10.11 19402
421 김은준교수 실험실, Nature Neuroscience 에 논문 게재(2015.01) / Professor Eun Joon Kim’s Lab Publishes in Nature Neuroscience 과사무실 2015.01.27 19085
420 김미영 교수, KAIST 이원조교수로 선정! 과사무실 2010.10.25 18932
419 김재훈 교수, 강현아, 권부기 학생 '청암과학펠로' 선정 과사무실 2011.11.04 18852
418 허원도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3.2) 과사무실 2013.02.21 18749
417 오병하 교수, 제 9회 아산의학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6.03.14 18198
416 김진우 교수, 김형태 박사 Cell Reports에 논문 게재(2015.10) / Professor Jin Woo Kim and Hyung-Tai Kim Ph.D. published paper in Cell reports (2015.10) file 생명과학과 2015.10.29 17879
415 김재현 박사과정 학생, 이승희 교수 J.Neurosci. 게재 (2016.05) / Jae-Hyun Kim and Prof. Seung-Hee Lee published article at J. Neurosci.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8 17781
414 이승희 교수, 송유향, 김재현 박사과정 학생 Neuron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17.02.13 17753
413 김정회 교수, 한국생명공학연합회 초대 회장에 선출 / Professor Jung-Hoe Kim elected to the first president of Korea association of Bioenginiering file 생명과학과 2016.08.26 1773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