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생명과학과에 조교수로 부임예정인 허원도 박사를 소개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직접 컨택하시기 바랍니다.

이메일주소: wdheo@stanford.edu

분야 : Molecular and Cell Biology, Imaging, mammalian cell signaling networks

경력 : Senior Research Scientist Dept. of Chemical and Systems Biology, Stanford University (http://www.stanford.edu/group/meyerlab)

박사 학위 :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Biochemistry

부임예정일 : 2008. 2.

>> 허원도 박사 CV 보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458
67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443
66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303
65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1007
64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217
63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1728
62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314
61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042
60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086
59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070
58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215
57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244
56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1639
55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1063
54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576
53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1079
52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1597
51 [김상규 교수님] 생명과학과의 낭만과학자 Eco Lab 대표 김사부(KAIST 유튜브) 생명과학과 2023.12.12 1059
50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1296
49 [김상규 교수님] 누구나 천연물 합성 경로 예측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8.14 944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