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Memory recall and modifications by activating neurons with elevated CREB

기억은 뇌에 있는 일부 뉴런들에 저장된다고 생각되는데 이런 memory allocation에 전사인자인 CREB이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CREB을 인위적으로 편도체 (amygdala)에 있는 일부 뉴런들에 과발현시키면 이 뉴런들이 기억저장에 선택적으로 참여하고 후에 이 뉴런들만을
선택적으로 뇌에서 제거했을 때 기억이 사라지는 현상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CREB 유전자 과발현, in vivo electrophysiology 그리고 TRPV1-capsaicin
시스템을 이용한 약물학적 신경세포 활성 조절 방법을 이용하여 CREB을 과발현시킨 뉴런들만을 특이적으로 활성화 시켰을 때 그 자체만으로 편도체에 저장된 공포기억이 불러일으켜 지고
이런 자극을 통해 기억의 강화와 같은 기억 조작, 변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기억의 신경생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PTSD)와 같은 정신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 고규영 교수님 Circulation Research 논문 COVER게재 과사무실 2007.03.21 14281
67 개교 36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7.02.15 10612
66 박태관 교수 Bioconjugate Chemistry 편집위원 선임 과사무실 2007.01.02 12857
65 [동아일보] 위암 당뇨 ‘맞춤 치료’ 길 열린다…SNP 지도 첫 완성 과사무실 2006.12.14 14050
64 정종경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2월 수상자로 선정 과사무실 2006.12.11 13005
63 [한국경제] 한국인 생명과학자가 최근 발표한 주요 연구 과사무실 2006.11.13 18026
62 [한국경제] STRONG KOREA-한국인 과학자가 뛴다...생명과학 과사무실 2006.11.13 17871
61 세계의 벽 사뿐히 넘을 잠재력 가득 가능성 무한대… 미래 한국의 대들보 과사무실 2006.10.23 13364
60 [경향신문] 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9.18 14032
59 송세라, 박영균 학생 김보정 기초과학장학생으로 선발 과사무실 2006.09.12 13930
58 박태관 교수 나노연구혁신 대상(과학기술부 장관상) 수상 과사무실 2006.09.04 11480
57 [동아일보] 혈관형성 촉진제 이용 만성 신장질환 고쳐요-고규영교수 과사무실 2006.08.03 12354
56 [중앙일보] 생명과학과 박지혜 '로레알 여성생명과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6.06.22 14251
55 [동아일보] 노화억제 신약후보물질 개발…김태국 교수팀 과사무실 2006.06.12 12099
54 [대덕넷] 노화억제 비밀 밝혀낸 김태국 교수...연구성과 집대성 '풀베팅' 과사무실 2006.06.12 14863
53 [동아일보] 한국 과학에 세계가 또 놀라다 -정종경교수팀 과사무실 2006.05.04 15209
52 [동아일보] 뇌 신호전달 작동물질 첫 발견-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4.20 12779
51 "당뇨병 합병증 치료단백질 개발!" - 고규영교수팀 과사무실 2006.03.14 14635
50 고병삼 학생 외 3명 Bioneer Award (2006) 수상 과사무실 2006.03.07 14780
49 개교 35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 김태국 교수(학술상), 김학성 교수(국제협력상) 과사무실 2006.02.15 12661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