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Memory recall and modifications by activating neurons with elevated CREB

기억은 뇌에 있는 일부 뉴런들에 저장된다고 생각되는데 이런 memory allocation에 전사인자인 CREB이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CREB을 인위적으로 편도체 (amygdala)에 있는 일부 뉴런들에 과발현시키면 이 뉴런들이 기억저장에 선택적으로 참여하고 후에 이 뉴런들만을
선택적으로 뇌에서 제거했을 때 기억이 사라지는 현상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CREB 유전자 과발현, in vivo electrophysiology 그리고 TRPV1-capsaicin
시스템을 이용한 약물학적 신경세포 활성 조절 방법을 이용하여 CREB을 과발현시킨 뉴런들만을 특이적으로 활성화 시켰을 때 그 자체만으로 편도체에 저장된 공포기억이 불러일으켜 지고
이런 자극을 통해 기억의 강화와 같은 기억 조작, 변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기억의 신경생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PTSD)와 같은 정신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298
67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295
66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1290
65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287
64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1279
63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1275
62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1275
61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1270
60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1268
59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1246
58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1220
57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207
56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1207
55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1206
54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1202
53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201
52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1200
51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1191
50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1189
49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1184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