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8/28/2007082801359.htm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8/28/2007082801359.html국내 연구진이 충치(蟲齒) 예방 효과가 있는 천연감미료 자일리톨(xylitol)을 기존의 화학생산법 대신 미생물을 이용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에 따라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자일리톨의 국산화는 물론, 6000억원 규모의 세계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KAIST 생명과학과 김정회(金政會·55) 교수는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해 세계 최고 수율(收率)로 자일리톨을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 균주 ‘캔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lis)’와 생산공정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지금까지 자일리톨은 자작나무와 옥수수 속대 등에서 원재료인 자일로스를 추출한 후 니켈 촉매가 들어가는 화학반응을 거쳐 생산해 왔다. 그러나 화학생산법은 공정이 복잡해 생산 비용이 높고, 환경과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인 니켈을 사용하는 단점이 있었다. 김 교수는 “화학생산법에서는 정제 과정에서 원재료가 유실돼 최종 자일리톨 생산 수율이 50~60%에 그쳤다”며 “미생물은 정제 과정 없이 원재료를 바로 자일리톨로 바꿔 수율이 98%에 이르며, 20% 이상 원가 절감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세계 자일리톨 시장은 최근 2~3년간 연평균 35% 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올해 시장 규모는 60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영완 기자 ywlee@chosun.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8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415
87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1397
86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1396
85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1374
84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372
83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1366
82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351
81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348
80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326
79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1325
78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1321
77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1321
76 [강석조 교수님] 이행 호염구, 알레르기 매개 세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과학과 2023.11.08 1309
75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1306
74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1301
73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1300
72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1299
71 서성배 교수님_동물의 식습관을 조절하는 원리 규명해 네이처 게재​ 생명과학과 2021.05.11 1290
70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1283
69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278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