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고규영, 김빛내리 교수 유력 바이오논문 6편 발표 '최다'

우리나라 과학자 가운데 세계적인 바이오전문 저널에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학자는 고규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와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재단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 따르면 2002년 5월부터 3년간 등재한 논문은 고 교수와 김 교수가 각각 6회였다.

이는 영향력 지수(IF) 10점 이상의 톱클래스 국제 바이오 저널만을 대상으로 집계한 것이다.

한편 BRIC가 자체 웹사이트에서 소개한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코너에 3년 동안 세 번 이상 등록된 국내외 한국인 과학자는 총 42명으로 국내 과학자가 24명,해외 과학자가 18명이었다.

장원락 기자 wrjang@hankyung.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585
61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559
60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343
59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233
58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315
57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406
56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83
55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340
54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387
53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70
52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61
51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257
50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498
49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766
48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452
47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543
46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472
45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667
44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548
43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349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