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사진 1. 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

< 사진 1. 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 연구팀이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방법을 제시했다고 2일 밝혔다.

헌팅턴병은 희귀 유전성 질환으로 근육 간 조정 능력 상실과 인지능력 저하정신적인 문제가 동반되는 신경계 퇴행성 질환이다이는 유전되는 퇴행성 뇌 질환이며 헌팅턴 단백질에 글루타민 아미노산이 여러 개가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돌연변이로 인해 발병된다. 

헌팅턴병은 약 1~3만 명 중 1명의 발병률을 가지고, 10여 년의 퇴행과정을 거쳐 죽음에 이르게 하는 병이다아미노산이 3,000개 이상 연결돼 만들어지는 거대 단백질인 헌팅틴(Huntingtin) 단백질은 질병을 일으키기는 하지만생체기능에 필수적인 단백질이고병을 일으키는 형태의 단백질만을 치료 표적으로 골라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송 교수 연구팀은 네델란드 프로큐알 테라퓨틱스(ProQR Therapeutics NV), 프랑스 그레노블 대학스웨덴 왕립 공대의 연구그룹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헌팅턴병을 유발하는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을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형태로 전환해 헌팅턴병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했다이 결과는 헌팅턴병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형주 연구원이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저명 학술지 `임상연구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Insights)' 온라인판에 출판됐다

(논문명  A pathogenic proteolysis-resistant huntingtin isoform induced by an antisense oligonucleotide maintains huntingtin function) https://elifesciences.org/articles/76823 

그림 1. 연구 개념도

< 그림 1. 연구 개념도 >

 

연구팀은 알엔에이(RNA)의 일종인 안티센스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ntisense oligonucleotide) 이용해 생성이 유도된 헌팅틴 델타 12의 형태가헌팅턴병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 단백질 아미노산 말단부위로 인해 절단되지 않으면서도 헌팅틴 단백질 고유의 기능을 유지한다는 사실 밝혔다연구팀이 결과는 헌팅턴병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개념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한국을 포함한 4개국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뤄진 것으로질병을 유발하는 헌팅틴 단백질을 정상상태로 유도하는 방법이 헌팅턴병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ˮ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글로벌연구실(Global Research Laboratory)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2317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 최길주 교수, 제5회 마크로젠 신진과학자상 수상 과사무실 2008.10.13 11743
96 바이오칩 저널(학회장 김학성 교수) SCIE 공식 등재 과사무실 2008.09.29 12214
95 생명과학과 <b>정종경 교수</b>, 경암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08.09.23 15459
94 2단계 BK21 <b>2년 연속 생물분야 1위!</b> 과사무실 2008.09.10 11335
93 생명과학과 박태관 교수, 새로운 항암유전자 전달시스템 개발 과사무실 2008.07.08 14981
92 생명과학과 김재섭 교수, ‘동물 체온의 비밀’ 열쇠 찾아 과사무실 2008.07.03 12231
91 생명과학과 박태관 교수, 두 저널에 표지논문으로 게재 과사무실 2008.06.25 11409
90 생명과학과 최길주 교수, 빛 없이 싹틔우는 유전자 발견 과사무실 2008.05.30 12638
89 2008년도 자연과학대학 우수 강의 교원 및 우수 직원 포상 과사무실 2008.04.29 12749
88 2008년 개교 37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8.02.14 12096
87 과사무실 김미희님 - 2007년도 4/4분기 "이 달의 직원상" 수상 과사무실 2007.11.16 12280
86 생명과학과 고규영 교수... 분쉬의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7.10.29 12317
85 생명과학과 김정회 교수... 한국생물공학회 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07.10.24 11230
84 생명과학과 신임교원 허원도 박사 부임 예정 과사무실 2007.10.16 15119
83 2단계 BK21 1차년도 연차평가결과 -생물분야 1위! 과사무실 2007.10.09 12066
82 생명과학과 김정회 교수... 대전광역시 주최 이달의 과학기술인 상 선정 과사무실 2007.10.05 13670
81 이균민 교수 생명과학과 학과장 취임 과사무실 2007.09.13 12571
80 [대덕넷] 생명과학과 정종경교수... 과기부 2분기 우수과학자 10인 선정 과사무실 2007.09.04 13640
79 [조선일보] 생명과학과 김정회교수팀...자일리톨 추출 신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7.08.29 13954
78 생명과학과 권창섭 연구교수... Trends in Genetics지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07.08.20 13290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