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알츠하이머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들. KAIST 박성홍 교수, 연세대학교 정호성 교수, KAIST 정원석 교수, 서울대학교 박혜윤 교수(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삼성전자가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921)을 맞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을 받아 연구하는 국내 연구진 영상을 20일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알츠하이머와 관련한 다양한 기초 연구를 돕고 있다. 연재까지 알츠하이머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연구 15개를 지원했다.

 

삼성전자 뉴스룸에 공개한 '알츠하이머를 쫓는 사람들' 영상은 삼성 지원으로 알츠하이머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국내 연구진과 성과를 담았다.

 

정원석 KAIST 교수는 수면과 노화에서 뇌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뇌 뇌화를 억제하고 알츠하이머와 같은 질환을 예방 ·치료하는 데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알츠하이머와 관련한 다양한 기초 연구를 돕고 있다. 연재까지 알츠하이머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연구 15개를 지원했다.

 

삼성전자 뉴스룸에 공개한 '알츠하이머를 쫓는 사람들' 영상은 삼성 지원으로 알츠하이머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국내 연구진과 성과를 담았다.

 

정원석 KAIST 교수는 수면과 노화에서 뇌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뇌 뇌화를 억제하고 알츠하이머와 같은 질환을 예방· 치료하는 데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성홍 KAIST 바이오 뇌공학과 교수는 '새로운 뇌 영상화 기법 MRI' 를 연구한다. 뇌막 림프관을 통해 뇌의 노폐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밝히는 연구다.

 

정호성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는 축삭(뉴런의 가장 끝에 위치해 신경세포에서 일어나는 흥분을 다른 신쳥세포에 전달하는 돌기 부분) 퇴화 연구를, 박예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살아있는 뇌에서 기억의 흔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영상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2013년부터 15000억원을 출연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현재까지 603개 과제에 7729억원을 집행했다. 네이처, 사이언스 등 국제학술지에 논문 1246건을 게재했다.

 

삼성전자는 미래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기초 과학이 중요하다는 이재용 부회장의 철학을 반영해 삼성미래기술육성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내년부터는 호암과학상을 물리·수학 부분, 화학·생명과학 부문으로 확대 개편해 과학기술 분야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화암과학상 확대는 이부회장 제안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또 국내 대학들의 미래 기술·인해 양성를 지우너하기 위해 산학협력에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https://www.etnews.com/202009200000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6 [조병관 교수님] 이산화탄소 흡수해 아세트산 만드는 '친환경 미생물' 5종 발견 생명과학과 2022.06.17 4090
315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2200
314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1790
313 [조선일보] AMPK유전자, 암세포 치료에도 이용...정종경 교수팀 과사무실 2007.05.08 13103
312 [조선일보] 김재섭 교수 고열에도 뇌손상 막는 유전자 최초 발견 과사무실 2005.01.31 13248
311 [조선일보] 생명과학과 김정회교수팀...자일리톨 추출 신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7.08.29 15268
310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1833
309 [중앙일보] 김재섭 교수 치매 막는 신물질 4종 발견 과사무실 2005.08.08 13330
308 [중앙일보] 생명과학과 박지혜 '로레알 여성생명과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6.06.22 14664
307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2480
306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1676
305 [한겨레] BK21 중간평가: 최우수사업단으로 선정 과사무실 2004.12.09 12668
304 [한겨레] 생체시계 시간 맞추는 유전자 국내 연구팀이 첫 발견-김재섭 교수팀 과사무실 2005.10.20 12165
303 [한국경제] STRONG KOREA-한국인 과학자가 뛴다...생명과학 과사무실 2006.11.13 18390
302 [한국경제] 고규영 교수 유력 바이오논문 6편 최다 발표 과사무실 2005.09.02 13105
301 [한국경제] 한국인 생명과학자가 최근 발표한 주요 연구 과사무실 2006.11.13 18417
300 [한국의 AI 추격자들] 서범석·백승욱 루닛 창업자 file 생명과학과 2020.10.30 4511
299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1748
298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1709
297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1665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