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포도 껍질에 들어 있는 레스베라트롤은 노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메트포르민은 수 백년간 당뇨병 치료제로 쓰여온 프랑스 라일락의 약효 물질을 바탕으로 합성한 혈당 강하제다. 이 두 물질의 공통점은 ‘AMPK’라는 인체 유전자의 기능을 강화시킨다는 것이다.

국내 연구진이 이 AMPK유전자가 지금까지 알려진 것처럼 당뇨병·비만 같은 대사성 질환 치료 외에 암세포를 치료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음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KAIST 정종경(鄭鍾卿·사진) 교수 연구팀은 7일 “㈜제넥셀·충남대 의대·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함께 실시한 동물실험에서 AMPK 유전자가 세포 구조와 염색체 개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약물 투입 등을 통해 기능이 활성화되면 암세포를 정상으로 돌려놓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네이처(Nature)’지(誌)는 이번 연구 성과의 중요성을 고려해 정식 출판 전인 8일 인터넷 속보판으로 논문을 공개했다. AMPK는 세포의 에너지를 유지하고 영양분 대사 조절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그동안 당뇨병·비만 등 여러 대사 질환을 치료할 표적 유전자로 주목을 받아 왔다. 정 교수팀은 AMPK가 완전히 상실된 초파리를 처음으로 만들어 이 유전자가 정상적인 세포구조 유지와 염색체 개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정 교수는 “인간의 대장암 세포에서 AMPK 유전자의 기능을 강화시키자 비정상적이었던 암세포 구조가 정상으로 돌아왔다”며 “AMPK의 활성 조절을 통해 일부 암의 치료와 예방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현재 AMPK를 표적 유전자로 삼아 개발 중인 당뇨병이나 비만 치료제를 항암제로 재평가할 필요도 생겼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의 주요 내용은 특허 출원됐다.

이영완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 [양한슬 교수님] 해양 속 82%까지 생분해되는 종이 포장재 개발 생명과학과 2024.05.20 1175
353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5935
352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1991
351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1587
350 [유슬기(양한슬 교수님 연구실)] 제4회 'POSTECH SF 어워드', KAIST 유슬기 씨 당선 생명과학과 2024.02.27 1242
349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712
348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213
347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1596
346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1435
345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669
344 [이승재 교수님] 면역력이 더 높은 성별과 그 이유를 밝혀내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192
343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1945
342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1299
341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1674
340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580
339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634
338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412
337 [임대식 교수님] 지방세포 이용해 체중 감소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7.01 1027
336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2137
335 [전상용 교수님]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이제 MRI로 진단하세요 생명과학과 2024.04.02 89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