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코로나 변이 대응 중화항체 개발"


카이스트 오병하 교수팀, 계산적 항체 디자인을 통한 범용성 코로나바이러스 중화항체 개발 < 강사뉴스 < 기사본문 - 한국강사신문

 

[동양일보 정래수 기자]"새로운 중증 호흡기증후군 유발 코로나바이러스에도 대응할 수 있는 범용 코로나 치료항체 후보가 될 것입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61.사진) 교수 연구팀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대응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중화항체를 개발했다. 앞으로 새로운 중증호흡기증후군 유발 코로나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 코로나 치료항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화항체란 병원체가 신체에 침투했을 때 생화학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중화해 세포를 방어하는 치료용 항체를 말한다.

오 교수는 "이번 논문 발표 후 오미크론이 새롭게 출현했으며, 연구진은 개발한 중화항체가 이 변종에도 효과가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개발한 항체는 아미노산 서열이 거의 바뀌지 않는 표면에 결합하기 때문에 향후 출현할 수 있는 신·변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치료 물질이 될 수 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감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알려진 SARS-CoV-2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당단백질 부위에 있는 수용체 결합 부위(이하 항원)를 인간 세포막에 붙어있는 hACE2(hum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2) 수용체에 결합시켜 세포 내로 침입하는 기전을 보인다. 이러한 기전에 착안해 세계 유수의 제약회사들의 연구진은 수용체 결합 부위에 붙는 중화항체 에테세비맙(Etesevimab), 밤라니비맙(Bamlanivimab) 등을 개발했다.

하지만, 이 항체들은 최초에 유행한 코로나바이러스에 효과적인 것과 다르게 알파, 베타, 델타 등과 같은 변이에는 중화능이 없거나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됐다.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기존 항체들의 중화능이 떨어지는 이유는 바이러스의 항체 인식부위 서열에 변이가 생겨 항체가 더 이상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오 교수는 "계산적 단백질 디자인 방법으로 바이러스 항원에서 변이가 생기지 않는 부분에 강력하게 결합하는 항체를 개발했다. 결과적으로, 이번에 개발한 항체는 오미크론을 포함해 알려진 SARS-CoV-2의 모든 변이 바이러스 뿐만 아니라 SARS-CoV-1, 천산갑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강력한 결합력을 보이며 우수한 중화 능력 지표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오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항체는 미래에 출현할지 모르는 새로운 중증호흡기증후군 유발 코로나바이러스에도 대응할 수 있는 범용 코로나 치료항체 후보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에 개발된 계산적 항체 디자인 기술은 항원의 특정 부위에 결합하는 항체를 발굴하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그 응용성이 넓고 기술적 가치가 높다.

우리나라 생명과학의 개척자로 불리는 오 교수.

그는 왕성한 연구논문 발표와 저서 출판 등으로 국내보다 해외 학계에서 더 유명하다. 2016년에는 '아산의학상' 기초의학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그는 당시 세포가 분열할 때 DNA가 정확하게 둘로 나뉘며 복제되는 원리를 알아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Cell)’ 등에 발표됐다.

아산의학상은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의과학자를 격려하기 위해 2007년 제정됐다.

30년 가까이 생명현상을 연구한 오 교수는 과학 연구의 원동력으로 ‘경쟁’을 꼽았다. 오 교수는 “세계 이곳저곳에서 여러 과학자가 같은 질문에 동시에 매달리지만 최초의 발견만이 인정을 받는다”며 “보이지 않는 경쟁구도가 열심히 일하게 하는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정래수 기자 raesu1971@dynews.co.kr

출처 : 동양일보(http://www.dynews.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1 BK21 생물사업단, 2단계 사업 1,2,3차년도 연차평가 생물분야 연속 1위! 과사무실 2009.12.29 13476
420 BK21사업 생물사업단 2단계 종합평가 결과 '매우우수', 교과부장관 표창! 과사무실 2012.09.07 12548
419 BK21생물사업단(생명과학과) 생물분야 1위! 과사무실 2011.09.02 11965
418 KAIST iGEM팀(조병관 교수 지도) 2012 World Championship 진출 file 과사무실 2012.10.12 22238
417 KAIST 김승중 교수 (생명과학과 겸임교수) 대한민국바이오의약품대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11.04 5858
416 KAIST 김태국 교수 신약개발 사이언스지 발표 과사무실 2005.07.01 14717
415 KAIST-원진 세포치료센터 기부 및 투자 약정 업무협약식 생명과학과 2021.02.22 1577
414 Raghu P. Kataru(고규영 교수님 Lab), Blood 지 게재 승인 과사무실 2009.04.06 13172
413 Thao Phuong Le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6.05) / Thao Phuong Le,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1 11040
412 [HOT100 2019-2020]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질병극복 선도 최고의 과학인재 양성 생명과학과 2019.04.01 7621
411 [KAIST NEWS] 이준식 교수 정년퇴임 과사무실 2003.09.18 21234
410 [강석조 교수님] DNA 인식 선천면역인자의 방호패치 발견​ 생명과학과 2023.12.05 715
409 [강석조 교수님] 이행 호염구, 알레르기 매개 세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과학과 2023.11.08 1020
408 [강창원 명예교수님] 바이러스와 세균의 진화를 규명하다​ 생명과학과 2024.07.19 514
407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740
406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969
405 [경향신문] 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9.18 13800
404 [교육부] BK21사업 제2회 중간평가 결과 발표 과사무실 2004.12.09 12779
403 [김대수 교수님] '유퀴즈' 뇌과학자 김대수, 깻잎 논쟁 "절대로 해선 안 되는 행동" 생명과학과 2022.02.17 1638
402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06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