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조회 수 16067 댓글 0
Hee Won Yang, Min-Gyoung Shin, Sangkyu Lee, Wei Sun Park, Jeong-Rae Kim, Kwang-Hyun Cho, Tobias Meyer, and Won Do Heo. (2012) Cooperative Activation of PI3K Signaling by Ras and Rho Small GTPases. Molecular Cell. 47, 1-10

허원도 교수님 실험실의 양희원 박사가 제 1저자로 2012. 6월에 Molecular Cell에 논문이 게재되었다.
바이오이미징기술을 이용하여 세포신호전달과정에서 세포성장, 세포이동, 암전이에 중요한 단백질인 PI3K를 활성화 시키는 21개의 small GTPase들을 찾고 PI3K를 활성화시키는 새로운 조절기전을 규명하였다.

Jae-Kyung Won*, Hee Won Yang*, Sung-Young Shin, Jong Hoon Lee, Won Do Heo, and Kwang-Hyun Cho (Co-corresponding authors). (2012) The Cross Regulation Between ERK and PI3K Signaling Pathways Determines the Tumoricidal Efficacy of MEK Inhibitor. Journal of Molecular Cell Biology. 4(3):153-63.

허원도 교수연구팀 (양희원 박사)은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 (원재경 박사과정, 신성영 박사)과 2012. 6월 JMCB에 BT와 IT의 융합연구를 통해 MEK inhibitor 항암제의 내성기전을 규명한 논문이 게재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7 마 원 박사과정생(김은준 교수 Lab), 제3회 바이오니아 차세대 연구자상 대상 수상 과사무실 2011.09.20 12888
186 2008년 개교 37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8.02.14 12891
185 노운 세미나실 OPEN 기념식 과사무실 2005.05.18 12900
184 강창원 교수, KT 석좌교수 임용 과사무실 2014.02.26 12903
183 [교육부] BK21사업 제2회 중간평가 결과 발표 과사무실 2004.12.09 12955
182 2005학년도 석림학술장학재단 장학생 - 이영석 박사과정 학생 선정 과사무실 2005.12.29 12959
181 정종경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2월 수상자로 선정 과사무실 2006.12.11 12988
180 생명과학과 김재섭 교수, ‘동물 체온의 비밀’ 열쇠 찾아 과사무실 2008.07.03 12994
179 과사무실 김미희님 - 2007년도 4/4분기 "이 달의 직원상" 수상 과사무실 2007.11.16 12998
178 고규영 교수 국가지정연구실사업 신규과제 선정 과사무실 2004.08.23 13004
177 박태관 교수, 획기적인 핵산 유전자 치료제 전달시스템 개발 과사무실 2010.01.29 13015
176 박태관 교수, "암 진단에서 치료ㆍ촬영까지 한꺼번에" 과사무실 2009.05.12 13037
175 생명과학과 고규영 교수... 분쉬의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7.10.29 13039
174 임대식 교수, 교과부 '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신규 지원과제에 선정! 과사무실 2010.04.21 13060
173 김정진 Post-doc(김대수 교수 lab), 2011 일본뇌신경학회 Travel Award 수상! 과사무실 2011.06.17 13100
172 김진우 교수, EMBO Journal 에 논문 게재 (2012.2.15) 과사무실 2012.02.16 13105
171 김학성 교수, Nat. Chem. Biol. 게재 (2013.3) 과사무실 2013.03.22 13106
170 강창원 교수, (통합)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0년도 회장 선임 과사무실 2009.11.05 13120
169 학사과정 강병권 학생, 2009년 인성장학생 공로부문 선정! 과사무실 2010.01.08 13180
168 김진우 교수, 노인성 망막퇴행질환 핵심 단백질 찾았다 과사무실 2008.11.18 13182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