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KAIST(총장 강성모)는 전상용 생명과학과 교수가 지난 1월 나노의학분야 학술지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상(The Most Cited Paper Award)을 수상했다고 25일 밝혔다.

인용지수(Impact Factor) 7.8의 테라노스틱스는 나노의학 분야 저명 학술지다. 전 교수의 논문은 작년 한 해 동안 테라노스틱스 내에서 가장 많이 인용돼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수상으로 전 교수는 테라노스틱스의 출판사인 IVY Spring 국제 출판사로부터 상장과 $1000의 상금도 받게 된다.



President Sung-Mo Kang stated that Professor Sangyong of Biological Sciences Jon received “The Most Cited Paper Award” by the Nanomedicine Journal Theranostics.

 

Theranostics is a renowned academic journal in the field of nanomedicines with an impact factor of 7.8. Professor Jon’s paper was awarded for being the most frequently cited for the past one year. An award certificate and $1000 have also been issued by the IVY Spring, publisher of Theranostic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5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2434
384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2435
383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2442
382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2447
381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2454
380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2496
379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2499
378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2500
377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2506
376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2516
375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2524
374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2537
373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2538
372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2538
371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2589
370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2594
369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2636
368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2647
367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2650
366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268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