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김진우 교수, 김남석 박사 eLife지에 새로운 개념의 신경축삭 성장 유도 인자 논물 발표 (2014. 9)

"Regulation of retinal axon growth by secreted Vax1 homeodomain protein"

Namsuk Kim, Kwang Wook Min, Kyung Hwa Kang, Eun Jung Lee, Hyoung-Tai Kim, Kyunghwan Moon, Jiheon Choi, Dai Le, Sang-Hee Lee, Jin Woo Kim

내용: 김진우교수 연구실의 김남석박사 (College de France Post-doc)와 동료들이 Vax1 단백질이 시신경 교차 (optic chiasm) 세포에서 분비되어 시신경 축삭 (axon)으로 이동 후 axon의 성장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eLife 98일자 online에 발표하였다.본 연구는 기존 신경발달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써의 고정관념을 벋어나, 새로운 형태의 세포 간 정보 전달자로써의 Vax1의 역할을 밝힌데 의의가 있으며, Vax1 단백질을 Vax1-KO 생쥐 뇌에 이식하여 시신경 성장 유도까지 성공하여 향후 Vax1을 시신경 성장 인자로 질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까지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4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1673
373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1675
372 [정현정 교수님] 암세포만 골라 유전자 교정 치료하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4.04.08 1675
371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1677
370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681
369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681
368 서성배 교수님_동물의 식습관을 조절하는 원리 규명해 네이처 게재​ 생명과학과 2021.05.11 1689
367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697
366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715
365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1721
364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25
363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1730
362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731
361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735
360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69
359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1774
358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1779
357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792
356 오병하 교수님_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794
355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18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