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상규 교수, 강문영 석박사통합과정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상규 교수, 강문영 석박사통합과정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상규 교수 연구팀이 꽃향기 합성 유전자를 발굴하기 위해 꽃잎 단일세포 RNA 시퀀싱 기술을 개발하고 벤질아세톤(benzylacetone) 꽃향기 합성 경로를 밝혔다. 

벤질아세톤은 코요테담배(Nicotiana attenuata) 꽃에서 합성되고 밤에 분비가 되는 향기 물질이다이 향기물질은 밤에 활동하는 박각시나방을 유인한다그리고 꽃은 꿀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나방은 화분pollen을 멀리 날라준다또한 벤질아세톤은 코요테담배 꽃을 먹는 해충을 쫓아내는 기능을 하고 있다생태적으로 재미있는 기능을 하고 있는 물질이지만 생합성 경로에 대해서는 완전히 알려진 상태가 아니었다.

일반적으로 식물이 만들어내는 대사물질의 생합성 유전자를 밝히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꽃잎 단일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의 연관도를 이용하여 물질대사 경로를 밝힐 수 있다는 것을 이번 연구를 통해서 증명하였다특히 유전정보가 제한적으로 알려져 있고 다양한 생태형 ecotype을 가진 식물 집단이 없어도 비모델 식물에서 물질합성 경로에 있는 효소와 그 효소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 등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림 1. 꽃잎 단일세포 RNA 시퀀싱 후 특정 세포 집단(0,3)에서 향기합성 유전자 발굴

< 그림 1. 꽃잎 단일세포 RNA 시퀀싱 후 특정 세포 집단(0,3)에서 향기합성 유전자 발굴 >

 

단일세포 RNA 시퀀싱의 장점을 활용하여 향기합성 유전자가 만들어지는 세포를 구별하고 꽃잎에서 향기가 합성되는 위치도 밝힐 수 있었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문영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이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New Phytologist' 학술지에 게재됐다. (관련 논문명Single-cell RNA-sequencing of Nicotiana attenuata corolla cells reveals the biosynthetic pathway of a floral scent

한편 이번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과 포스코사이언스펠로십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researchnews.kaist.ac.kr/researchnews/html/news/?mode=V&mng_no=188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 최유라 학생 21세기 이끌 우수인재상 수상 과사무실 2005.01.27 11084
44 최은비 박사과정 학생(김미영 교수 실험실) Oncogene 게재(2016.02) / Eun-Bee Choi, a Ph.D candidate in Prof. Mi-Young Kim’s lab published a paper in Oncogene (2016.02) 생명과학과 2016.03.07 13093
43 최준호 교수 연구팀, 초파리 생체시계 유전자 'Twenty-four' 발견하여 Nature 발표 과사무실 2011.02.17 16539
42 최준호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 과사무실 2011.12.01 13356
41 최준호 교수, 2012년 정부연구개발 우수성과에 선정 과사무실 2012.11.02 11478
40 최준호 교수, <디아이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11.04.06 11776
39 최준호 교수,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과사무실 2012.09.18 15436
38 최준호 교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 취임 / Professor Joonho Choe is augurated as the chairman of KSMCB 생명과학과 2016.01.05 11331
37 최준호 교수, 한전 석좌교수로 임명 과사무실 2011.09.08 11443
36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336
35 학사과정 강병권 학생, 2009년 인성장학생 공로부문 선정! 과사무실 2010.01.08 12321
34 학사과정 김유나 학생, 2008학년도 인성장학생으로 선정! 과사무실 2008.12.09 14927
33 학사과정 김혜림, 국립암센터 인턴쉽 포스터발표 최우수상 수상 과사무실 2010.09.07 13445
32 한국, 신종 박테리아 발표건수 68종 세계 1위 - 이성택 교수 세계 2위 과사무실 2005.12.19 13480
31 한용만 교수(박상욱 박사과정), Blood 지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0.11.19 15009
30 한진희 교수, 선천적 공포 반응에 대한 신경회로 첫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18.08.08 11168
29 한진희 교수, 원혜정 학생(김은준 교수 Lab) 2009' 청암 과학펠로 선정! 과사무실 2009.11.27 14845
28 한진희 교수님 실험실 (김지은 Post-doc, 권정태 박사과정) Nature Neuroscience 개제 과사무실 2014.01.21 15318
27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434
26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556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