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조회 수 12699 댓글 0

“비 표지방식에 의한 단백질 활성의 고감도 측정기술 개발”
KAIST 김 학성 교수, 독일화학誌 (Angewandte Chemie)에 발표

- 나노입자와 이차 이온 질량 분석방법을 이용한 단백질 활성의 정성 및 정량분석 기술 개발
- 세포 내에서 단백질 수식(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및 신호전달 연구와 신약 후보 물질의 스크리닝 등 생명공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반 기술


KAIST 생명과학과 김학성 (金學成, 교수) / 김영필 (金英必, 박사과정) 연구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나노바이오융합연구단 이태걸 박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이차이온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단백질 활성 분석방법“이란 제목으로 관련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Angewandte Chemie 誌 8월 1일자로 인터넷판에 발표하였다.

생체 내에서 단백질의 수식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에 관련된 다양한 단백질 및 효소는 세포내 신호전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세포의 분열, 성장, 사멸과정을 정교하게 조절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키나제 (protein kinase) 는 단백질의 특정아미노산을 인산화 시켜 세포 내 다양한 신호전달 및 질병 메카니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백질의 수식에 관련된 단백질의 활성을 고감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세포내 신호전달 기작은 물론 신약개발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金 교수팀은 단백질 키나제(protein kinase)를 대상으로 금 나노입자 (gold nanoparticle)와 이차이온 질량분석기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를 활용하여 고감도로 정확하게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고 동시에 단백질 저해제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칩 표면에 금나노입자를 부착하고 생체물질을 결합한 후 이온 빔을 조사하게 되면 생체물질의 질량신호를 얻을 수가 있는데 단백질 키나아제의 기질로서 사용되는 펩타이드의 질량신호가 금 나노입자에 의해 수 십배 증폭되는 점에 착안하여 단백질 키나아제의 활성을 고감도로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측정기술은 다른 측정방법에 비해 표면 감도가 매우 우수하여 단위면적당 (mm2) 수십 펨토몰 (fmol) 수준의 생체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金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은 단백질 키나아제 이외에도 포스포타제 (phosphotase), 프로티아제 (protease), 아세틸라아제 (acetylase), 메틸전이효소 (methyltransferase) 등을 포함한 단백질 수식에 관련된 다양한 단백질 및 효소의 활성을 고감도로 측정하거나 빠르게 스크리닝할 수 있기 때문에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단백질 활성 저해제 (inhibitor)를 손쉽게 탐색할 수 있어 신약개발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기술은 현재 국내특허 등록을 완료하였고 미국특허 출원 중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8 전상용 교수님_ 면역항암제 효율 높인 나노입자 백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20.06.17 3941
87 전상용 교수님_Researchers review future directions of nanomedicine development 생명과학과 2020.12.28 1868
86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441
85 전상용,이대엽 임성갑 교수, 암 줄기세포 제작 원천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8.11.30 7420
84 전상용교수님_항암제 표적 단백질을 약물 전달체로 쓴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8.26 3735
83 정원석 교수_ 삼성전자,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 맞아 연구원 노력 담은 영상 공개 생명과학과 2020.09.21 3322
82 정원석 교수님_Astrocytes eat connections to maintain plasticity in adult brains 생명과학과 2020.12.28 2825
81 정원석 교수님_KAIST, 신경세포의 흥분성 증가로 인한 뇌 질환 기제 규명 생명과학과 2021.06.03 2115
80 정원석 교수님_국내 연구진, 우리 뇌가 계속 일할 수 있는 이유 밝혀 생명과학과 2021.02.26 2496
79 정유진 석사과정 학생, 조병관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6) / Yujin Jeong, a Master's degree student and Prof. Byung-Kwan Cho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6) 생명과학과 2016.06.07 15130
78 정인경 교수, 인체 조직읜 3차원 게놈지도 해독 file 생명과학과 2019.09.25 5337
77 정인경 교수님_KAIST, 전 세계 최대 규모의 3차원 암 게놈 지도 구축 생명과학과 2020.12.29 2066
76 정인경 교수님_유전자 온-오프 스위치 비밀 밝히는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07.26 1930
75 정종경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2월 수상자로 선정 과사무실 2006.12.11 13023
74 정현정 교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펠로우십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07.04 6497
73 정현정 교수님_도파민의 성질로 박테리아 생장의 실시간 탐지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0.12.09 2131
72 정현정교수_ 커피링 효과로 감염병 신속진단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0.09.17 3002
71 정형록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Development Cell 게재(2016.02) / Hyung-Lok Chung,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Dev. Cell (2016.02) 생명과학과 2016.03.11 12736
70 제1회 젊은 파스퇴르상 카이스트 석권! 과사무실 2010.03.02 12555
69 제5회 연구노트 경진대회(Lab Note Contest) 시상식 file 생명과학과 2020.04.03 5189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