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hellodd.com/kr/news/news_view.asp?t=e_valy&mark=7602http://www.hellodd.com/kr/news/news_view.asp?t=e_valy&mark=7602
KAIST 임대식 교수팀...암 조기진단 및 신약개발에 기여

암을 발생시키거나 증식을 억제하는 유전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규명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임대식(38) 교수 연구팀은 2년여의 연구끝에 항암 유전자인 '라스에프원에이'(RASSF1A)의 세포내 역할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는 그동안 기능과 역할에 대해 전혀 알려진 것이 없어 암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주요 관심 유전자였다.

하지만 임 교수팀은 암 발생 초기에 활동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세포분열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사이클린 단백질의 안정성을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세포분열 진행시간을 제어, 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생명원리를 밝혀냈다.

임 교수팀은 실험과정에서 '라스에프원에이' 단백질은 세포분열시 방추사와 중심체에 위치해 'Cdc20'라는 단백질 기능을 억제하고 사이클린을 포함한 여러 단백질을 안정화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 정상세포에서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 발현이 없을 경우 비정상세포의 분열을 유발하고 세포분열 진행시간을 촉진시켜 정상세포가 암세포와 같은 형질을 보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근거해 임 교수팀은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암 발생 초기에 발현되지 않으면 염색체 이상을 야기하고 또 다른 항암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촉진시켜 결국 악성 종양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가설을 제안했다. 

특히 이 연구결과는 암 발생 진행과정과 세포분열기 이전의 기초적인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데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여겨져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세포생물학誌(Nature Cell Biology)' 2월호 표지로 발표됐다.

임 교수는 "현재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없는 생쥐모델을 만들어 암 발생기전을 연구중에 있다"면서 "앞으로 암환자 시료를 분석해 '라스에프원에이' 발현 여부에 따른 암 진단과 예후판정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과기부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는 여러 암 조기진단 뿐만 아니라 예후판정과 신약개발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임 교수는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사업인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의 암관련 후보유전자 기능연구 과제 연구책임자로 참여하고 있다.
042-869-2635

<대덕넷 김요셉기자> joesmy@hellodd.com

▶ 관련기사 : 과학기술부 (MOST) 보도자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0 허원도 교수님(유다슬이 박사)_제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의 생명과학 분야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2 795
109 KAIST-원진 세포치료센터 기부 및 투자 약정 업무협약식 생명과학과 2021.02.22 1068
108 서성배 교수님(김진은 석박사통합과정)_2020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5 1839
107 정원석 교수님_국내 연구진, 우리 뇌가 계속 일할 수 있는 이유 밝혀 생명과학과 2021.02.26 1611
106 조병관 교수님_Antibiotic tolerance study paves way for new treatments 생명과학과 2021.03.03 723
105 조병관교수님_온실가스를 바이오 물질로 전환…미생물 활용한 '인공광합성' 성공 생명과학과 2021.03.10 763
104 김대수 교수님_스트레스로 악화 '근긴장이상증' 억제 신약 개발…수술없는 약물치료 기대 생명과학과 2021.03.11 1783
103 서성배 교수님(양대욱 박사)_세종과학펠로우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1.03.18 962
102 김대수 교수님_ 카이스트 교수 `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브라이트) 출간 생명과학과 2021.05.04 1753
101 서성배 교수님_동물의 식습관을 조절하는 원리 규명해 네이처 게재​ 생명과학과 2021.05.11 554
100 손종우교수님 UTSW – UT Dallas 국제 공동 연구팀 연구성과_Scientists Identify Source of Weight Gain From Antipsychotics 생명과학과 2021.05.14 998
99 손종우 교수님_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생명과학과 2021.05.17 584
98 서성배 교수님_Gut hormone triggers craving for more proteins 생명과학과 2021.05.18 672
97 정원석 교수님_KAIST, 신경세포의 흥분성 증가로 인한 뇌 질환 기제 규명 생명과학과 2021.06.03 1342
96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635
95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708
94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703
93 정인경 교수님_유전자 온-오프 스위치 비밀 밝히는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07.26 1052
92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551
91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644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