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손종우 교수, 유은선 석박사통합과정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손종우 교수, 유은선 석박사통합과정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손종우 교수 연구팀이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로 인해 발생하는 비만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중추신경계의 도파민 수용체 및 세로토닌 수용체에 결합해 뇌 신경 전달물질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조현병 치료에 사용된다약리작용이 한 가지에 국한되지 않았다는 뜻으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라 부르며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약물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향후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을 처방받는 환자들에게 발생하는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줌으로써환자들의 약물 순응도를 높이고 질병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명과학과 유은선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이 공동 제저자로 참여하고미국 텍사스 주립대학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 첸 리우(Chen Liu) 교수와의 공동연구로 진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실험의학저널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218권 7호에 12일 字 온라인 게재됐다. (논문명 The Atypical Antipsychotic Risperidone Targets Hypothalamic Melanocortin 4 Receptors to Cause Weight Gain) 

`리스페리돈'`올란자핀'과 같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조현병양극성 장애 및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다양한 신경정신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널리 처방되고 있다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정형 항정신병 약물과 비교해 운동계 부작용이 적으나 과도한 식욕과 비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는데기존 동물 모델에서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비만이 재현되지 않아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비만을 유발하는 원인을 알아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손 교수와 리우 교수 연구팀은 리스페리돈을 먹이에 포함해 생쥐에게 먹임으로써 동물 모델을 이용해 이들 약물에 의한 식욕 증가와 비만을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연구팀은 이 모델을 이용해 리스페리돈이 우리 몸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뇌 부위인 시상하부에서 식욕을 억제하는 중요한 신경 전달물질 중 하나인 멜라노코르틴에 대한 반응성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연구팀은 조현병 모델 생쥐에서 리스페리돈과 함께 멜라노코르틴 반응성 신경 세포 활성도를 높여 작용하는 식욕 억제제인 세트멜라노티드를 처치하면 리스페리돈의 항정신병 효과를 보존하면서도 비만을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세트멜라노티드(상품명임시브리)는 작년 11월 미국 FDA의 승인을 받고 현재 몇 가지 유전적 요인에 의한 비만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약물이다.

그림 1. 비정형 항정신성 약물에 의한 식욕 증가 및 비만의 기전

< 그림 1. 비정형 항정신성 약물에 의한 식욕 증가 및 비만의 기전 >

 

손종우 교수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식욕 증가와 비만의 원인을 신경 세포와 분자 수준에서 처음 규명한 것으로 향후 이들 약물을 이용한 신경정신질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ˮ라고 말했다. 

또한"리스페리돈이 시상하부 멜라노코르틴 반응성을 저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나이 현상이 다른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도 적용되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아 이 부분에 관한 연구에 집중할 계획이다ˮ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통해 수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139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0 생명과학과 박태관 교수, 두 저널에 표지논문으로 게재 과사무실 2008.06.25 11434
169 생명과학과 박태관 교수, 새로운 항암유전자 전달시스템 개발 과사무실 2008.07.08 15038
168 생명과학과 신임교원 David Helfman 박사 부임 소개 (2009.8.1) 과사무실 2009.09.10 12098
167 생명과학과 신임교원 강석조 박사 소개 (2010.01.01) 과사무실 2009.12.29 16254
166 생명과학과 신임교원 오병하 박사 부임 소개 (2009.9.1) 과사무실 2009.09.10 14202
165 생명과학과 신임교원 한진희 박사 소개 (2009.10.01) 과사무실 2009.10.06 16347
164 생명과학과 신임교원 허원도 박사 부임 예정 과사무실 2007.10.16 15146
163 생명과학과 이문수 박사(이노테라피 CEO) 지혈제로 240억 '주식 갑부' file 생명과학과 2019.02.07 6652
162 생명과학과 최길주 교수, 빛 없이 싹틔우는 유전자 발견 과사무실 2008.05.30 12669
161 생명과학과 출신 곽유상 박사 ... 美 대학교수 됐다 과사무실 2007.07.31 14020
160 서경배재단 ‘올해의 신진 과학자’ 조원기 교수 선정 생명과학과 2020.09.16 4007
159 서라민 박사과정 학생. 제 18차 KHUPO 프로테오믹스 국제학술대회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8.04.30 13690
158 서성배 교수, 당뇨에 큰 영향 미치는 뇌 혈당조절 신경세포 발견 file 생명과학과 2019.10.30 4745
157 서성배 교수, 스트레스 세포(CRF 세포) 변화 초 단위 관찰 성공 file 생명과학과 2019.04.18 7278
156 서성배 교수님(김보람 연수연구원)_제20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21.09.27 1194
155 서성배 교수님(김진은 석박사통합과정)_2020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5 1839
154 서성배 교수님(양대욱 박사)_세종과학펠로우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1.03.18 962
153 서성배 교수님_Gut hormone triggers craving for more proteins 생명과학과 2021.05.18 672
152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635
151 서성배 교수님_동물의 식습관을 조절하는 원리 규명해 네이처 게재​ 생명과학과 2021.05.11 554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