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news.donga.com/3/all/20120214/44018208/1http://news.donga.com/3/all/20120214/44018208/1KAIST 김학성-김동섭 교수팀
거부 반응 없고 대량생산 가능… “단백질 신약시장 주도할 기술”

100조 원 규모의 단백질 의약품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순수 국산 기술이 개발됐다. 신약 개발에 필수적인 항체를 인공적으로 만들어내는 기술로, 이를 활용하면 신약 생산비용은 100분의 1로 줄고, 개발기간은 종전 10년에서 5년으로 단축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AIST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와 바이오및뇌공학과 김동섭 교수 공동연구팀은 의약품 원료로 쓰이는 인간유래 항체를 대체할 수 있는 인공항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먹장어나 칠성장어와 같은 동물에 존재하는 단백질 ‘VLR’가 항체는 아니지만 항체처럼 면역작용을 한다는 사실에 착안해 연구를 시작했다. VLR를 재설계해 만든 인공항체는 대량생산이 쉽고, 열과 산성에 대한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동물실험 결과 면역 거부 반응도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인공항체를 이용해 세포 수준에서 패혈증과 관절염을 치료하기도 했다. 기존 항체는 치료제뿐 아니라 분석, 진단 등 의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쓰이고 있지만, 동물세포에서만 배양해야 하는 등 생산 공정이 복잡해 1mg에 100만 원 정도로 가격이 비쌌다. 연구팀은 현재 미국과 유럽 등 국내외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세포 수준에서 입증된 패혈증과 관절염 치료 효과를 동물에게도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0일자에 실렸다.

이재웅 동아사이언스 기자 ilju2@donga.com

Sang-Chul Lee*, Keunwan Park*, Jieun Han*, Joong-jae Lee*, Hyun Jung Kim, Seungpyo Hong, Woosung Heu, Yu Jung Kim, Jae-Seok Ha, Seung-Goo Lee, Hae-Kap Cheong, Young Ho Jeon, Dong-sup Kim, and Hak-Sung Kim. Design of a binding scaffold based on variable lymphocyte receptors of jawless vertebrates by module engineering. (*equal contribution) Proc. Natl. Acad. Sci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9 김진우 교수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18 644
208 김진우 교수님_생명의 신비상 장려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0.12.24 1412
207 김찬혁 교수님_인공지능 이용 면역항암 세포 3차원 분석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030
206 김학성 교수, 2010년 한국바이오칩학회 학술대상 수상! 과사무실 2010.11.01 11141
205 김학성 교수, Molecular Therapy에 표지논문 게재 (2014.7) 과사무실 2014.07.09 11809
204 김학성 교수, Nat. Chem. Biol. 게재 (2013.3) 과사무실 2013.03.22 12236
203 김학성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 (2014. 4) 과사무실 2014.04.24 13250
202 김학성 교수, PNAS 게재 (2013.6) 과사무실 2013.06.20 11734
201 김학성 교수, 류이슬 박사 Angewandte Chemie 논문 발표(2014.11) 과사무실 2014.11.27 12729
200 김학성 교수, 빛에 의해 스위치처럼 작동하는 단백질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8.08.28 8270
» 김학성 교수, 사람 항체 대체할 인공항체 기술 개발 과사무실 2012.02.15 12959
198 김학성 교수, 세포 내 단백질 전달 효율 높이는 DNA 기반 나노구조체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1.21 5686
197 김학성 교수, 이중재 박사 Angewandte Chemie에 논문 게재 (2015) / Prof. Hak-Sung Kin and PhD. Joong-Jae Lee published a paper at Angewandte Chemie (2015) 생명과학과 2015.08.31 15142
196 김학성교수...독일화학誌에 발표 과사무실 2007.08.01 11910
195 남성훈 학생 외 2명 Bioneer Award (2004) 수상 과사무실 2005.02.22 12863
194 노운 세미나실 OPEN 기념식 과사무실 2005.05.18 12136
193 도민재, 박재윤, 정현정 (박태관 교수 lab), 2010' 특허전략 유니버시아드 장려상 수상! 과사무실 2010.12.20 12031
192 마 원 박사과정생(김은준 교수 Lab), 제3회 바이오니아 차세대 연구자상 대상 수상 과사무실 2011.09.20 12167
191 메디톡스, '4기 펠로우십 장학금' 생명과학대학 대학원생 5명에게 전달 file 생명과학과 2019.03.29 6409
190 목혜정 박사와 이수현 학생(박태관 교수님 Lab), 로슈 마르코 폴로 심포지움에서 최우수 포스터상 수상! 과사무실 2009.09.22 13516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