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한인과학자, 줄기세포 치료 첫 성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66031a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0pixel, 세로 560pixel

김광수 교수 연구팀이 줄기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에 이식하는 수술을 하는 모습 [사진 KAIST]

 
한국인 과학자가 미국에서 유도만능줄기세포(iPS) 기술을 이용해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줄기세포를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KAIST김광수 미 하버드 의대 교수가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 임상 치료에 성공했다2일 밝혔다. 김 교수는 KAIST 생명과학과에서 석ㆍ박사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연구를 계속했다. 신경과학과 줄기세포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으로 꼽힌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660000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0pixel, 세로 524pixel

맞춤형 줄기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 모식도[사진 KAIST]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뇌 질환 환자에 이식해 임상 치료 효과까지 낸건 이번이 처음이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신경세포ㆍ혈액세포ㆍ근골격 세포 등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로 분화가 가능해 만능 줄기세포로 여겨진다. 김 교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 2017부터 2년 동안 두 차례에 걸쳐 69세 파킨슨병 환자에게 줄기세포를 이식했다. 환자의 피부세포를 변형해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을 생성케 한 후 이를 환자의 뇌 깊숙이 주입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2년 동안 PET, MRI 영상 등으로 경과를 지켜본 후 지난 5월 이와 관련한 논문을 발표했다. 환자는 면역 체계 거부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스스로 구두끈을 다시 묶을 수 있을 정도로 회복됐다. 수영과 자전거를 탈 정도로의 운동 능력까지 회복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660000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0pixel, 세로 197pixel

피부 세포(맨 왼쪽) 유도만능줄기세포(가운데), 도파민 뉴런(맨 오른쪽) [사진 KAIST]

 
수술을 받은 환자는 조지 로페즈(George Lopez) 씨로맞춤형 줄기세포의 신속한 연구와 파킨슨병 정복을 위해 애써 달라며 김 교수 연구팀을 꾸준히 지원했다고 한다.
 
이러한 수술과 임상 성공은 하루 아침에 이뤄진 성과는 아니다. 파킨슨병의 맞춤형 줄기세포 치료는 일단 환자의 체세포를 안정적으로 줄기세포로 전환한 뒤, 이를 다시 도파민 세포로 분화시킨 후 뇌에 이식해야 하는 까다로움이 뒤따른다. 20년간 관련 기술을 연구한 김 교수는 10여 년 전 이미 바이러스를 사용하지 않고 환자의 세포를 이용해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제작하는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 이를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 적용해 성과를 입증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660000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0pixel, 세로 373pixel

김광수 하버드 의대 교수 [사진 KAIST]


김 교수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할 수 있도록 FDA에 승인을 신청했다”10여 년 정도 후속 연구를 계속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맞춤형 세포치료가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또 하나의 보편적인 치료 방법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성과는 의학 분야에서 권위있는 저널로 꼽히는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에 지난 5월 게재됐다.

[출처: 중앙일보] 자전거 탄 파킨슨 환자한인과학자, 줄기세포 치료 첫 성공

 https://news.joins.com/article/2379147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8 손종우교수님 UTSW – UT Dallas 국제 공동 연구팀 연구성과_Scientists Identify Source of Weight Gain From Antipsychotics 생명과학과 2021.05.14 9177
267 개교 45주년 기념 우수교원 수상 / Announcement of the 2016 Faculty Award Winners in Commemoration of the 45th Anniversary of Founding 생명과학과 2016.03.07 10463
266 개교 36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7.02.15 10596
265 박태관 교수, 2010년도 삼성 고분자 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10.04.12 10659
264 2012년 개교 41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12.02.10 11326
263 자연과학대학 우수 강의 교원 및 우수 직원 포상 과사무실 2007.03.29 11335
262 과사무실 최은주 사무원 - 2005년도 4/4분기 "이 달의 직원상" 수상 과사무실 2005.11.01 11384
261 Thao Phuong Le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6.05) / Thao Phuong Le,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1 11412
260 강창원 교수, "디아이 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12.05.22 11456
259 박태관 교수 나노연구혁신 대상(과학기술부 장관상) 수상 과사무실 2006.09.04 11466
258 고창민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Oncogene 게재(2016.04) / Chang Min Ko,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Oncogene (2016.04) 생명과학과 2016.04.15 11547
257 [매일경제] 김학성 오은규 연구팀 나노입자 특성 이용해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과사무실 2005.03.21 11596
256 임대식 교수 외 3명 개교 34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5.02.15 11599
255 [대덕넷] 제넥셀, 日 신약개발업체서 외자유치 과사무실 2005.03.31 11605
254 2011년 개교 40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11.02.11 11654
253 최길주 교수, PNAS 에 논문 게재! (2012. 1 online) 과사무실 2012.01.12 11716
252 이승재 교수님_One More Key to Human Longevity Found After Worm Research 생명과학과 2020.07.03 11716
251 [한겨레] 생체시계 시간 맞추는 유전자 국내 연구팀이 첫 발견-김재섭 교수팀 과사무실 2005.10.20 11739
250 2015년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 선정 / Announcement of KAIST's Top 10 Research Accomplishments of 2015 생명과학과 2016.03.07 11763
249 최유라 학생 21세기 이끌 우수인재상 수상 과사무실 2005.01.27 11877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