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인공지능 기반 임상·비임상 행동 시험 분석 회사 액트노바(대표 김대건)가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원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9일 밝혔다. 초기 기업이지만 세계 시장에서도 통하는 기술력과 상품성, 시장 잠재수요가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는 평이다. 

액트노바는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시험 과정을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회사측 설명에 따르면, 신약개발의 필수 단계인 안정성, 약효성 시험 과정에서 연구원이 실험 동물 및 환자를 직접 관찰, 평가해야 했다면, 해당 기술을 통해 보다 정확하게 양질의 실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치매나 파킨슨처럼 진단이 어려웠던 뇌질환도 증상 발현과 완화 정도를 파악하고 고도화된 행동 분석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이를 통해 임상·비임상 시험 과정 내 인력 간섭을 최소화하고, 치료제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상용화 완료된 인공지능 머신 비전 솔루션 ‘아바타 3D 시스템’(AVATAR 3D System)은 임상·비임상 인지, 행동 증상을 정량화하고 다양한 뇌질한 증상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육안으로 볼 수 없었던 미세한 증상 변화를 발견할 수 있는 분석 능력을 갖추고 있어, 신약 개발 프로세스에서 후보 물질 효능을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제품은 2022 CES 혁신상을 수상하며 해외 시장에서도 기술력을 검증 받았다. 

액트노바는 세계 시장 무대로 보폭을 확대할 계획이다. 연내 구독형 행동 분석 스코어링 서비스 ‘액트버스’를 해외 시장에 출시하고 세계 최대 신경과학학회인 미국신경과학회(SFN) 샌디에이고 전시부스에도 참가한다. 내년에는 미국 법인 설립에도 나선다. 

액트노바는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기계공학부 석박사, 생명과학과 연구 교수를 지낸 김대건 대표를 주축으로 김대수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동물실험장비회사 ‘쓰리샤인’ 박천귀 대표가 설립했다. 카이스트 출신 연구원 다수가 연구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신경과학분야 저널인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 인공지능 학회인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컨퍼런스(CVPR) 등에 연구 실적을 출판 중이다. 

김대건 액트노바 대표는 “관찰과 평가가 어려운 임상·비임상 행동 실험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을 통해 신약·치료제 개발 프로세스를 단축하고자 한다”며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 행동 실험 연구원과 의료진, 실험 대상의 스트레스와 희생을 줄이고 다양한 뇌 질환 치료제 개발에 보탬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산하 카카오벤처스 심사역은 “액트노바가 보유하고 있는 행동 실험과 관련된 데이터 및 기술력,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기존의 동물 실험 방법론을 혁신하는 기업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2 [이흥규 교수님] 짠 음식의 뇌종양 악화 유발 원인 세계 최초 밝혀​ 생명과학과 2025.06.04 141
461 [허원도 교수님] 세계 최초 유전자 가위로 원하는 RNA ‘콕’ 집어 아세틸화 성공 생명과학과 2025.06.10 170
460 [정현정 교수님] 슈퍼박테리아 방패 ‘바이오필름’ 무력화 치료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5.05.30 196
459 [김세윤 교수님] 2025 KAIST 교육혁신의 날 KAIST 교육혁신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5.05.21 206
458 [허원도 교수님] 2025 KAIST 리서치데이에서 KAIST 대표연구성과 10선 선정 생명과학과 2025.05.23 212
457 [한진희 교수님] 심리적 공포기억 조절 뇌 회로 최초 규명-트라우마 치료 새 전기​ 생명과학과 2025.05.15 277
456 제1회 강창원 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5년 3월 5일) file 생명과학과 2025.03.26 626
455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685
454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688
453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694
452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721
451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768
450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829
449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834
448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906
447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914
446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954
445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975
444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978
443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108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