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 정재언 신임 대표이사 (사진=메디포럼 제공)

 

[메디컬투데이=김동주 기자] 메디포럼이 자사 연구소장 출신 신임 대표이사를 선임해 임상시험을 비롯한 연구개발 중심 경영에 집중한다.

천연물 기반 신약개발 전문기업 메디포럼은 주주총회를 통해 정재언 연구소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고 14일 밝혔다.

정재언 신임 대표는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생명과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미국 NCI에서 post-doctor 과정을 미쳤으며, 벡스코아, MCTT, EHL Bio 등의 여러 바이오 회사에서 연구소장을 역임, 지난 2020년부터 메디포럼의 연구소장을 맡아 천연물 치매치료제, 비마약성 통증치료제 등의 연구개발과 임상시험을 주도하고 있다.

메디포럼은 연구소장 출신 신임 대표 선임으로 임상시험 가속화 등 R&D 중심 경영에 추진력을 얻었다. 

 

회사 관계자는 “정재언 대표는 단백질 분리 정제, 바이러스, 백신, 조직공학, 압타머, 항암제, 세포 치료제 등 다양한 연구개발 경험을 갖고 있고 국책과제 5건에서 연구책임자로 연구 개발을 진행하는 등 다수의 비임상시험, 임상시험 경험을 가진 인물”이라며 “자사 연구소장 재직 당시 임상시험을 이끌었던 만큼 R&D에 초점을 맞춘 경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정재언 대표는 “지난해 COVID-19 여파로 다소 늦어진 천연물 치매치료제에 대한 임상시험을 최대한 빠르게 완료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된 만큼 책임감을 갖고 올해 신약개발 사업부문을 성장시키는 원년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치매는 아밀로이드-베타의 응집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고 이에 따라 진단과 치료제 개발이 진행되었으나 아직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발병원인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새롭게 진행돼 중추신경계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신경염증(neuroinflammation)이 치매의 발생원인이라는 것이 최근에 확인됐다. 

 

연구에 따르면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을 비롯해 ApoE4, 뇌혈관벽 손상, 미생물 또는 바이러스 감염, 미생물 유래 물질, 오토파지 등 매우 다양한 기작에 의해 중추신경계의 면역세포 활성이 증가해 과도한 신경염증이 나타난다.

‘PM012’는 이러한 과도한 신경염증을 치료하는 작용이 확인됐다. 비임상시험과 임상2a상시험을 통해 현재 치매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는 치매 개선제에서 나타나는 간독성, 소화장애, 운동장애 등의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신약후보물질로 확인됐다. 지난 2020년 10월부터 임상2b상시험 환자모집이 진행되고 있다.

메디포럼은 천연물 치매치료제 ‘PM012’의 임상 2b상시험을 올해 말까지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메디포럼은 치매치료제의 임상시험을 완료한 후 임상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특례 상장도 추진한다.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ed30109@mdtoday.co.kr)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7726851885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6 제1회 강창원 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5년 3월 5일) file 생명과학과 2025.03.26 211
455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291
454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311
453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328
452 [김진우 교수님] 세계 최초 손상된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개발 성공​ 생명과학과 2025.03.31 333
451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369
450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374
449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466
448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499
447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617
446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624
445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641
444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665
443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698
442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798
441 [허원도 교수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20회 경암상’ 수상자 발표 생명과학과 2024.09.30 884
440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기억 조절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열어 생명과학과 2024.07.15 960
439 [전상용 교수님]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이제 MRI로 진단하세요 생명과학과 2024.04.02 982
438 [서성배 교수님] 소금 결핍 시 장에서 섭취 욕구 조절하다​ 생명과학과 2024.05.03 1069
437 [임대식 교수님] 지방세포 이용해 체중 감소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7.01 111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