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원종하 박사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원종하 박사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연구팀은 빛으로 뇌 기능 및 행동을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술인 ‘Opto-vTrap(옵토-브이트랩)’을 개발했다나아가 동물실험을 통해 뇌 활성 뿐 아니라 활동과 감정까지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뇌 활성은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와 같은 뇌세포들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조절된다이 같은 상호작용은 뇌 세포 내 소낭안에 담긴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통해 이루어진다소낭이 뇌 활성을 조절하는 사령관인 셈이다뇌 활성 조절은 뇌 연구를 위한 필수 기술이다뇌의 특정 부위나 세포의 활성을 촉진 및 억제해보면 특정 뇌 부위가 담당하는 기능여러 뇌 부위 간 상호작용의 역할특정 상황에서 다양한 뇌세포의 기능 등 특정 상황에서 뇌 작동이 어떠한 원리로 일어나는지 밝힐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 뇌 활성 조절 기술은 원하는 시점에 특정 뇌세포의 활성을 자유롭게 조절하기 어려웠다지금까지는 세포 전위차 조절 방식을 사용하였는데이는 주변 환경의 산성도를 변화시키거나 원하지 않는 다른 자극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전위차에 반응하지 않는 세포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이번에 개발한 Opto-vTrap 기술은 세포 소낭을 직접 특이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시점에 다양한 종류의 뇌세포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직접 조절하고자 세포에 빛을 쪼이면 순간적으로 내부에 올가미처럼 트랩을 만드는 자체 개발 원천기술을 응용소낭에 적용했다Opto-vTrap을 발현하는 세포나 조직에 빛(청색광)을 가하면 소낭 내 광수용체 단백들이 엉겨 붙으며 소낭이 트랩 안에 포획되고 신경전달물질 분비가 억제된다요컨대 Opto-vTrap으로 소낭의 신호전달물질 분비를 직접 제어하여 뇌 활성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다연구진은 세포와 조직실험에서 나아가 Opto-vTrap 바이러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뇌세포 신호전달 뿐만 아니라 기억·감정·행동도 조절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Opto-vTrap을 이용하면 뇌의 여러 부위간 복합적 상호작용 원리를 밝히고세포 형태별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1. 광유전학적 세포소낭 분비 억제 시스템 Opto-vTrap의 모식도

< 그림 1. 광유전학적 세포소낭 분비 억제 시스템 Opto-vTrap의 모식도. 세포소낭과 세포질에 Opto-vTrap를 발현시키고, 청색광을 통해 세포소낭 복합체를 만들어 소낭 내 신호전달물질의 분비를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청색광을 끄면 신호전달물질이 다시 정상적으로 분비하므로 원하는 타이밍에 뇌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

 

허원도 교수는 “Opto-vTrap은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 모두에 잘 작동되기에 향후 다양한 뇌과학 연구 분야에 이용되리라 기대한다” 며 앞으로 본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뇌세포의 시공간적 기능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과제 및 KAIST 글로벌 특이점 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뇌 과학 학술지 뉴런 (Neuron, IF:17.173) 에 12월 1() 1(한국시간게재됐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6 제1회 강창원 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5년 3월 5일) file 생명과학과 2025.03.26 228
455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308
454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326
453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336
452 [김진우 교수님] 세계 최초 손상된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개발 성공​ 생명과학과 2025.03.31 366
451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381
450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383
449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474
448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506
447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621
446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636
445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646
444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675
443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704
442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806
441 [허원도 교수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20회 경암상’ 수상자 발표 생명과학과 2024.09.30 890
440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기억 조절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열어 생명과학과 2024.07.15 961
439 [전상용 교수님]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이제 MRI로 진단하세요 생명과학과 2024.04.02 986
438 [서성배 교수님] 소금 결핍 시 장에서 섭취 욕구 조절하다​ 생명과학과 2024.05.03 1074
437 [임대식 교수님] 지방세포 이용해 체중 감소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7.01 111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