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눈의 부분별 성장속도 조절 원리 규명

김진우 KAIST 교수, 'Nf2 종양억제유전자' 새로운 기능 발견

   
박성민 기자 sungmin8497@hellodd.com   
입력 : 2017.12.17|수정 : 2017.12.17
     
Nf2 유전자 결핍 생쥐의 안구 발달 이상.<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Nf2 유전자 결핍 생쥐의 안구 발달 이상.<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눈의 부분별 성장속도 조절 원리를 규명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은 김진우 KAIST 교수 연구팀이 눈의 성장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발견하고 각 구획별 발달 속도에 차이가 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눈의 신경조직 발달은 시신경 상피세포들이 세 개의 구획인 ▲망막 ▲망막색소상피세포층 ▲섬모체로 나뉘면서 시작된다. 처음에 유사한 성격을 가졌던 이들 조직은 점차 다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서로 다른 크기와 고유한 특성을 갖는다.
 
망막색소상피세포는 망막의 가장 바깥 부분에 단층으로 존재한다. 망막 발달에 관여하고 간상세포와 원추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섬모체는 홍채와 연결된 구조로서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해 초점을 맞추는 기능을 한다.

섬모체와 망막색소상피세포층은 망막보다 성장 속도가 느린 특징이 있다. 이들 조직의 발달 이상은 눈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한 소안증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이들 시신경 조직들 사이의 성장 속도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의문으로 남아있었다.

연구팀은 종양 억제 인자로 잘 알려진 'NF2 유전자'가 섬모체와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많이 발현되는 것을 발견하고 이 유전자의 기능과 안구 조직별 성장 차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생쥐의 섬모체에서 NF2 유전자를 제거하면 섬모체가 과성장하면서 정상적인 단일층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고 결국 생쥐에게 소안증이 발생했다. NF2 유전자가 사라지면 히포신호전달계가 정상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했다. 섬모체의 과도한 성장이 일어났다.

연구팀은 Nf2 유전자가 각 구획의 세포분열 속도를 조절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망막 조직에서는 Nf2 유전자 발현이 저해돼 빠르게 조직이 성장하는 반면,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는 Nf2 유전자 발현이 활성화돼 조직 성장이 멈춘다. 두 조직 사이에 위치한 섬모체에서는 Nf2 유전자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서서히 성장한다.

김진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NF2 유전자와 같은 세포 성장 억제인자가 눈의 각 지역마다 다르게 작용해 상이한 성장을 유도한다는 점을 밝힌 것"이라며 "이는 눈뿐만 아니라 여러 기관 형성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원리로서 다양한 선천적 기관 발달의 이상을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발달생물학분야 '디벨로프멘탈 셀(Developmental Cell)'에 지난 14일 게재됐다.



뉴스링크 : http://www.hellodd.com/?md=news&mt=view&pid=6358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5 제1회 강창원 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5년 3월 5일) file 생명과학과 2025.03.26 29
454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163
453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177
452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207
451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231
450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257
449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351
448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421
447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509
446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526
445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553
444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562
443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636
442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719
441 [허원도 교수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20회 경암상’ 수상자 발표 생명과학과 2024.09.30 824
440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기억 조절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열어 생명과학과 2024.07.15 884
439 [전상용 교수님]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이제 MRI로 진단하세요 생명과학과 2024.04.02 896
438 [서성배 교수님] 소금 결핍 시 장에서 섭취 욕구 조절하다​ 생명과학과 2024.05.03 990
437 [정인경 교수님] 제17회 아산의학상 젊은의학자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4.03.22 1030
436 [임대식 교수님] 지방세포 이용해 체중 감소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7.01 103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