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조회 수 13702 댓글 0
Young-Gyun Park*, Hye-Yeon Park*, C. Justin Lee, Soonwook Choi, Seonmi Jo, Hansol Choi, Yang-Hann Kim, Hee-Sup Shin, Rodolfo R. Llinas, and Daesoo Kim (* co-first author) (2010) CaV3.1 is a tremor rhythm pacemaker in the inferior olive. Proc Natl Acad Sci USA. 2010 May 3. [Epub ahead of print]

김대수 교수님 연구실의 박영균 박사과정 학생 및 박혜연 연구원은 몸의 떨림이 뇌에 존재하는 칼슘채널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음을 밝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하였다(2010.05.03, online publication).

진전증 환자의 피에 과량 존재하는 하말린이라는 물질은 사람이나 동물에 주사 시 떨림을 유발한다. 연구팀은 뇌의 Inferior olive(IO)부위에 존재하는 CaV3.1 칼슘채널이 진전증에 관련된 신경신호(STO)의 생성에 중요하며, 하말린이 이를 강화시킴으로써 몸의 떨림을 생성하게 됨을 규명하였다. 그동안 진전증과 관련된 신경활성은 보고가 되어 왔지만, 진전증의 생성에 있어 분자수준에서 행동에 이르기까지 밝혀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말린에 의한 떨림은 본태성 진전증의 모델로 사용되어 왔으며, 본 연구를 통해 CaV3.1 조절물질을 진전증 치료의 새로운 타겟으로써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6 제1회 강창원 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5년 3월 5일) file 생명과학과 2025.03.26 228
455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308
454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326
453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336
452 [김진우 교수님] 세계 최초 손상된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개발 성공​ 생명과학과 2025.03.31 366
451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381
450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383
449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474
448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506
447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621
446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636
445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646
444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675
443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704
442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805
441 [허원도 교수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20회 경암상’ 수상자 발표 생명과학과 2024.09.30 890
440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기억 조절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열어 생명과학과 2024.07.15 961
439 [전상용 교수님]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이제 MRI로 진단하세요 생명과학과 2024.04.02 986
438 [서성배 교수님] 소금 결핍 시 장에서 섭취 욕구 조절하다​ 생명과학과 2024.05.03 1073
437 [임대식 교수님] 지방세포 이용해 체중 감소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7.01 111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