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KAIST 생명과학과 김세윤 교수, 이광록 교수, 안형준 박사, 유정민 박사, 조원기 교수, (아래) 류광민 박사과정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세윤 교수, 이광록 교수, 안형준 박사, 유정민 박사, 조원기 교수, (아래) 류광민 박사과정 >

 

다양한 암 발생과 암전이 현상줄기세포로부터의 조직 분화 및 발생신경 세포의 활성화 과정 등을 근본적으로 일으키는 유전자 발현 조절 단백질의 핵심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를 발견했다. 우리 연구진은 이 발견을 기초로 하여 혁신적인 치료 기술 개발에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세윤 교수이광록 교수조원기 교수 공동연구팀이 동물 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원리를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노시톨 대사 효소에 의해 만들어지는 이노시톨 인산 대사체는 진핵 세포의 신호전달 시스템에 필요한 다양한 이차 신호전달물질로 작용하며 암비만당뇨신경계 질환들에 폭넓게 관여한다.

연구팀은 이노시톨 대사 시스템의 핵심 효소인 IPMK 단백질이 동물 세포의 핵심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의 중요한 전사 활성화 인자로 작용함을 규명했다. 

포도당과 유사한 영양소로 알려진 이노시톨의 대사 반응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인 IPMK 단백질(inositol polyphosphate multikinase)은 유전자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특히 IPMK 효소는 동물 세포의 대표적인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인 혈청 반응 인자(serum response factor, 이하 SRF)에 의한 유전자 전사 과정에 중요하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 작용하는 기전에 대하여 알려진 바는 없었다. 

SRF 전사 인자는 최소 200~300여 개의 유전자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단백질로서동물 세포의 성장과 증식세포 사멸세포의 이동성 등을 조절하며 심장과 같은 장기 발생에 필수적이다. 

연구팀은 IPMK 단백질이 SRF 전사 인자와 직접적으로 결합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SRF 전사 인자의 3차원적 단백질 구조를 변화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그림 1. 동물 세포의 핵심 전사 인자인 SRF 단백질은 IPMK 효소와 직접 결합하여 구조적 변화를 거치게 되어 DNA 결합 능력을 획득하게 되고 전사 활성화를 통해 동물 세포의 성장과 분화등을 정교하게 조절함

< 그림 1. 동물 세포의 핵심 전사 인자인 SRF 단백질은 IPMK 효소와 직접 결합하여 구조적 변화를 거치게 되어 DNA 결합 능력을 획득하게 되고 전사 활성화를 통해 동물 세포의 성장과 분화등을 정교하게 조절함 >

 

연구팀은 IPMK 효소에 의하여 활성화된 SRF 전사 인자를 통해 다양한 유전자들의 전사 과정이 촉진된다는 것을 밝혔다, IPMK 단백질은 SRF 전사 인자의 단백질 활성을 높이는 데 반드시 필요한 조절 스위치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임을 연구팀은 규명했다. 

연구팀은 IPMK 효소와 SRF 전사 인자 사이의 직접적인 결합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SRF 전사 인자의 기능과 활성이 낮아져 유전자 발현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한다는 점을 최종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SRF 전사 인자가 가지고 있는 비정형 영역(Intrinsically disordered region, IDR)이 중요한 조절 부위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비정형 단백질의 생물학적 중요성을 제시했다보통 단백질은 접힘을 통해 고유의 구조를 나타내지만 비정형 영역을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는 특정한 단백질 구조가 관찰되지 않는다학계에서는 이러한 비정형 영역을 가지고 있는 단백질들을 비정형 단백질이라고 구분하고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지 주목하고 있다. 

김세윤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이노시톨 대사 시스템의 핵심 효소인 IPMK 단백질이 동물 세포의 핵심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의 중요한 전사 활성화 인자이며 이를 증명하는 핵심 메커니즘을 제시한 중요한 발견이라며, “SRF 전사 인자로부터 파생되는 다양한 암의 발생과 암전이 현상줄기세포로부터의 조직 분화 및 발생신경 세포 활성화 과정 등을 근본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혁신적인 치료 기술 개발 등에 폭넓게 활용되기를 바란다라는 기대를 전했다. 

이 연구는 세계적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 (Nucleic Acids Research)’ (IF=16.7,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분야 상위 1.8%) 온라인판에 1월 7일 게재됐다(논문명 : Single-molecule analysis reveals that IPMK enhances the DNA-binding activity of the transcription factor SRF) (doi: 10.1093/nar/gkae1281)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사업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과 서경배과학재단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researchnews.kaist.ac.kr/researchnews/html/news/?mode=V&mng_no=4361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6 송지준교수, 조수민 연구교수, 장주원 박사과정학생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20.01.02 60781
455 허원도,김대수,한용만 교수 공동연구팀,Nature Biotechnology지에 표지논문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15.10.12 42067
454 박혜림 학생 (허원도 교수님 Lab), 제1회 다카라 우수논문상 수상! / Hyerim Park (Won Do Heo's lab) won the first Takara outstanding paper award! file 생명과학과 2015.10.07 28818
453 KAIST iGEM팀(조병관 교수 지도) 2012 World Championship 진출 file 과사무실 2012.10.12 22988
452 최광욱 교수님 실험실 목정완 박사과정 학생, '2017 페임랩 코리아’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17.05.15 22903
451 [KAIST NEWS] 이준식 교수 정년퇴임 과사무실 2003.09.18 21842
450 허원도 교수, Nature Methods 게재 (2014. 5) 과사무실 2014.05.08 21573
449 전상용 교수, 몸 속 물질 이용한 염증 치료제 개발 / Prof. Sang-Yong Jon developed anti-inflammatory drug using biological materials 생명과학과 2016.06.15 21542
448 최길주 교수, The Plant Cell 게재 (2013.12) 과사무실 2013.12.17 20887
447 최길주 교수, 이나영 박사 The Plant Cell 게재(2015.08) / Prof. Giltsy Choi and PhD. Nayoung Lee published a paper at The Plant Cell 과사무실 2015.08.19 20875
446 김미영 교수, 박서영 박사과정생(Prof. Walton Jones Lab), '청암과학펠로' 선정 과사무실 2010.10.11 20772
445 김미영 교수, KAIST 이원조교수로 선정! 과사무실 2010.10.25 20208
444 김재훈 교수, 강현아, 권부기 학생 '청암과학펠로' 선정 과사무실 2011.11.04 20100
443 김은준교수 실험실, Nature Neuroscience 에 논문 게재(2015.01) / Professor Eun Joon Kim’s Lab Publishes in Nature Neuroscience 과사무실 2015.01.27 20086
442 허원도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3.2) 과사무실 2013.02.21 19949
441 오병하 교수, 제 9회 아산의학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6.03.14 19326
440 김정회 교수, 한국생명공학연합회 초대 회장에 선출 / Professor Jung-Hoe Kim elected to the first president of Korea association of Bioenginiering file 생명과학과 2016.08.26 19050
439 이승희 교수, 송유향, 김재현 박사과정 학생 Neuron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17.02.13 19049
438 김재현 박사과정 학생, 이승희 교수 J.Neurosci. 게재 (2016.05) / Jae-Hyun Kim and Prof. Seung-Hee Lee published article at J. Neurosci.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8 19020
437 김진우 교수, 김형태 박사 Cell Reports에 논문 게재(2015.10) / Professor Jin Woo Kim and Hyung-Tai Kim Ph.D. published paper in Cell reports (2015.10) file 생명과학과 2015.10.29 1889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