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생명의 신비상] 눈 혹사 시대 `망막 재생 방법 찾는 연구자`




  • [앵커] 제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생명과학 분야 장려상을 받은 김진우 교수를 만나보겠습니다.

    장현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인간의 눈은 신체에서 가장 취약한 기관 가운데 하나입니다.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은 물론 아침에 일어나서 잠들기 전까지 우리는 끊임없이 무언가를 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문화 확산으로 전자기기 노출시간이 늘어나면서 눈의 피로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눈의 피로 상승은 눈의 급격한 노화나 질병을 일으켜 망막 손상을 부릅니다.

    망막은 외부의 빛을 받아들이는 눈 속 신경조직으로, 손상될 경우 시력을 잃고 맙니다.

    하지만 한 번 손상된 망막은 재생 치료는 물론 수정체나 각막과 달리 이식도 불가능합니다.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는 망막 퇴행을 막기 위한 연구 활동을 펼쳐왔습니다.

    특히 망막의 발달 과정을 연구해 이를 재생할 방법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김진우 교수 /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망막세포가 어떻게 구성이 되고 어떻게 생성이 되는가 부터 알아야 우리가 왜 이런 질병이 생기고 요걸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저희가 망막 발달에 대한 연구에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김 교수의 망막 연구는 2017년 ‘제14회 마크로젠 과학자상’을 받는 등 이미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변온동물 연구를 통해 망막 재생 방안을 찾을 단서를 발견하기도 했습니다.

    <김진우 교수 /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흥미롭게 물고기나 개구리처럼 변온 동물들 같은 경우에는 망막 재생이 잘 일어난다고 해요. 그래서 저희가 최근에 사람은 왜 망막 재생이 잘 안 될까에 대한 힌트를 조금 얻었고요.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일부 연구를 시작해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이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김 교수는 ‘제15회 생명의 신비상’ 생명과학분야 장려상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

    김 교수는 잇따른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사람들에게 ‘세상을 향한 창’을 돌려주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김 교수는 또 자신 역시 망막 연구를 통해 ‘세상에 기여할 창’을 찾았다고 말했습니다.

    <김진우 교수 /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눈이 세상을 향한 인간의 창이듯이 저도 망막 연구를 통해서 제가 공부하는 학문이란 것이 어떻게 인간을 위해서 인류를 위해서 사용 될 수 있고 교감할 수 있는 가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는 (스스로에게도) 세상을 향한 창이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CPBC 장현민입니다.


    http://www.cpbc.co.kr/CMS/news/view_body.php?cid=793599&path=2020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7 [정인경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대장암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해독​ 생명과학과 2023.07.25 108
    416 [김학성 명예교수님] 2023 효소공학상(Enzyme Engineering Award) 수상​ 생명과학과 2023.08.24 108
    415 [전상용 교수님] 탄수화물 나노입자로 염증성 장 질환 치료하다​ 생명과학과 2023.08.02 141
    414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148
    413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165
    412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200
    411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248
    410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262
    409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270
    408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275
    407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276
    406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283
    405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284
    404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290
    403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300
    402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312
    401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323
    400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329
    399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342
    398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34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