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3분 과학 소통, ‘2017 페임랩 코리아’ 한국대표에 목정완 씨



6월 한국대표로 영국 대회 참가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3분 과학 소통, ‘2017 페임랩 코리아’ 한국대표에 목정완 씨
5월 12일(금), 서울 종로구 KT스퀘어 드림홀에서 개최된 2017 페임랩 코리아 본선 경연에서 대상을 수상한 참가자 목정완 씨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과학소통 경연대회 ‘2017 페임랩 코리아’가 12일 오후 2시에 서울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열렸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박태현)과 주한영국문화원(원장 마틴 프라이어)이 공동주관했다. 

페임랩(FameLab)은 PPT 등 별도의 발표자료 없이 과학적 주제에 대해 3분 이내에 발표하는 경연대회다.  

발표자는 주어진 시간 내에 청중이 쉽고 재미있게 과학기술을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우수한 성적으로 1차와 2차 예선을 통과한 10명이 이번 본선 대회에 참여했다.

열띤 경연을 펼친 결과 발생 유전학이 가진 신비로움에 대해 발표한 목정완 씨(28, KAIST 생명과학 전공)가 대상을 수상했다.  

최우수상은 키메라를 이용한 치료법에 대해 발표한 안영언 씨(25, 고려대 생명과학 전공), 우수상은 슈퍼박테리아에 맞서는 미생물 벨로에 대해 발표한 문원식 씨(25, UNIST 미생물학 전공)가 각각 수상했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미래부 장관상이 수여되고, 영국 페임랩 국제대회(’17.6.6~6.11)에 한국대표로 참가하는 특전이 주어지며, 최우수상과 우수상 수상자도 국제대회를 함께 참관할 수 있도록 지원된다. 

영국 페임랩 국제대회는 ’05년에 시작한 이래 매년 개최되며, 금년까지 누적 53개국이 참가할 예정이다. 

미래부 강병삼 미래인재정책국장은 “올해 벌써 4년째를 맞이하는 페임랩 코리아를 통해 대중이 지적 갈증을 채우고, 과학을 하나의 문화로써 받아들이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최종 본선대회는 KT스퀘어에서 청중들이 방청하는 공개 방송 녹화로 진행되며 페임랩 코리아 본선대회의 전 과정을 담은 특집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5월 중 예능 케이블 방송 E채널을 통해 전국으로 방영될 예정이다. 

3분 과학 소통, ‘2017 페임랩 코리아’ 한국대표에 목정완 씨
서울 종로구 KT스퀘어 드림홀에서 개최한 ‘2017 페임랩 코리아’ 대회에서 한 참가자(목정완 씨)가 과학을 주제로 3분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XML: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5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new 생명과학과 2023.03.24 3
404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68
403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01
402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40
401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153
400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155
399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85
398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195
397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196
396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250
395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53
394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262
393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279
392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280
391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302
390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304
389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313
388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319
387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321
386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32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