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243424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243424
"암 진단에서 치료ㆍ촬영까지 한꺼번에"
KAIST·연세대 연구진, 암 진단·치료·촬영 나노입자 개발



국내 연구진이 암을 진단하고 치료하면서 그 과정을 자기공명영상(MRI)과 형광물질을 이용한 광학 영상을 통해 관찰하는 4가지 기능을 가진 나노입자를 최초로 개발했다.

KAIST 생명과학부 박태관 교수와 연세대 화학과 천진우 교수팀은 11일 자성을 띤 산화철 입자에 암세포 추적을 위한 펩티드와 암 치료용 RNA 조각, 형광물질을 결합시켜 암 진단에서 치료, 촬영까지 4가지 기능을 한꺼번에 할 수 있는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독일화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캐미(Angewante Chemie)' 최신호에 게재됐다.

박 교수는 "이 연구결과는 암세포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4가지 기능을 하나의 나노입자에 결집시켜 종양의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하다는 점에서 진단 또는 치료만 가능한 기존 기술들과 차별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15㎚(㎚=10억분의1m) 크기의 자성 산화철 나노입자에 형광물질과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인지하는 표적인자 기능을 하는 펩티드(RGD), 암세포에 침투해 유전물질을 공격해 암세포를 억제하는 '소 간섭 RNA(siRNA)' 를 결합시켰다.

자성 산화철은 MRI 조영제로, 형광물질은 광학 영상용 물질로 작용해 암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게 하고 표적인자인 펩티드와 siRNA는 암세포만 찾아내 파괴하는 역할을 한다.

RGD 펩티드는 암세포에 많이 발현되는 막 단백질의 하나인 특정 결합단백질(integrin)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나노입자가 암세포만 표적화해 공격할 수 있게 해준다.

siRNA는 20여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이중나선 RNA 조각으로 암세포에 침투한 다음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에 필요한 단백질이 생성되지 못하게 하는 항암 유전자 작용으로 암세포를 억제한다.

연구진은 이 나노입자를 유방암 세포와 폐암 세포에 적용한 결과 고감도 암 진단이 가능하고 입자에 부착된 siRNA가 암 치료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특히 "siRNA로 불리는 항암 유전자는 암을 비롯한 난치성 질병 치료에 큰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돼 최근 많은 다국적 제약회사의 이목이 쏠리는 바이오신약"이라며 "이 연구결과는 siRNA를 이용한 치료법 개발 면에서도 괄목할만한 성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현재 이 나노입자를 생체에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며 "이 나노입자의 효능이 동물실험을 거쳐 임상시험에까지 입증된다면 암 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글로벌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7 [김학성 명예교수님] 2023 효소공학상(Enzyme Engineering Award) 수상​ 생명과학과 2023.08.24 98
416 [정인경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대장암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해독​ 생명과학과 2023.07.25 104
415 [전상용 교수님] 탄수화물 나노입자로 염증성 장 질환 치료하다​ 생명과학과 2023.08.02 134
414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147
413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164
412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199
411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246
410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261
409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267
408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272
407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274
406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281
405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283
404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289
403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300
402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311
401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321
400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329
399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340
398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34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