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고규영 교수ㆍ조정현 박사팀이 개발한 혈관생성 단백질'콤프안지원(COMP-Ang 1)' 은 앞으로 심장병과 혈관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여러 질병에 획기적인 치료법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는 심장병, 심근경색, 뇌졸중 등 허혈성 심장과 뇌질환을 치료하는 데'VEGF' 라는 단백질이 사용됐다. 그러나 이 물질은 급속하게 혈관을 치료하는기능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완전한 혈관을 생성해 차후 부종이나 염증, 암등 부작용을 많이 야기했다.
이번에 개발된 콤프안지원은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 자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유도하는 물질이므로 건강한 혈관을 생성할 수 있다. '콤프안지원' 은 생물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를 재생하고 활성화하는 물질인 안지오포이에틴을 인공적으로 합성해 개발한 단백질이다. 안지오포이에틴은 심장병, 심근경색 등 혈관계 질환들을 거의 완벽하게 치료할수 있어 일찍부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물질 분자구조가 너무 크고 복잡해 인공적으로 합성하고 약물화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고규영 교수는 이 물질의 아미노산을 특성이 비슷한 세포구성물질인 콤프로 대체해 분자구조를 단순화하고 규모도 줄여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물질 우수성도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국 과학기술 관련 학술지인 '국립학술원학회지' 는 고 교수 연구결과를 이달에 상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또 미국에 물질개발과 관련한 특허를 출원해 현재 심사가 진행되고 있다.
고 교수는 "앞으로 4~5년 안에 상용화해 치료약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 이라며 "대량생산체제를 갖추고 본격적으로 상용화하면 연간 200억~500억원가량 치료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이명진 기자>
매일경제 2004-04-13
List of Articles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144 |
전상용 교수, ACS Nano 게재(2014.2)
|
과사무실 | 2014.03.12 | 11704 |
143 |
정유진 석사과정 학생, 조병관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6) / Yujin Jeong, a Master's degree student and Prof. Byung-Kwan Cho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6)
|
생명과학과 | 2016.06.07 | 11767 |
142 |
임대식 교수, EMBO Journal 에 논문 게재 (2012.3.7)
|
과사무실 | 2012.04.18 | 11771 |
141 |
서연수교수 도약연구지원사업 선정
|
과사무실 | 2007.04.23 | 11777 |
140 |
생명과학과 최길주 교수, 빛 없이 싹틔우는 유전자 발견
|
과사무실 | 2008.05.30 | 11788 |
139 |
이균민 교수 생명과학과 학과장 취임
|
과사무실 | 2007.09.13 | 11789 |
138 |
2007년 국가지정 연구실 선정.. 최길주 교수 연구실
|
과사무실 | 2007.07.20 | 11797 |
137 |
최길주 교수, 김정현 박사과정 학생 The Plant Cell 게재(2016.06) / Prof. Giltsu Choi and Junghyun Kim, a Ph.D.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The Plant Cell (2016.06)
|
생명과학과 | 2016.07.05 | 11815 |
136 |
Raghu P. Kataru(고규영 교수님 Lab), Blood 지 게재 승인
|
과사무실 | 2009.04.06 | 11818 |
135 |
송세라, 박영균 학생 김보정 기초과학장학생으로 선발
|
과사무실 | 2006.09.13 | 11837 |
» |
[매일경제] 고규영 교수 "혈관생성물질 세계 첫 개발"
|
과사무실 | 2004.04.15 | 11870 |
133 |
김학성 교수, 류이슬 박사 Angewandte Chemie 논문 발표(2014.11)
|
과사무실 | 2014.11.27 | 11875 |
132 |
최광욱 교수, 2014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Top5 선정 / Prof. Kwang-Wook Choi was selected as Top 5 news of 2014 in domestic bio research field
|
과사무실 | 2015.01.15 | 11898 |
131 |
송지준 교수, Genes & Dev. 게재 (2013.3)
|
과사무실 | 2013.03.22 | 11900 |
130 |
최길주 교수, The Plant Cell 게재 (2013.12)
|
과사무실 | 2013.12.18 | 11918 |
129 |
김재훈 교수, Molecular Cell 게재 (2013.3)
|
과사무실 | 2013.04.02 | 11921 |
128 |
최길주 교수, PNAS(P Natl Acad Sci USA) 4월호에 논문 게재
|
과사무실 | 2009.04.23 | 11924 |
127 |
[경향신문] 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김은준교수팀
|
과사무실 | 2006.09.18 | 11928 |
126 |
학사과정 김혜림, 국립암센터 인턴쉽 포스터발표 최우수상 수상
|
과사무실 | 2010.09.07 | 11993 |
125 |
목혜정 박사와 이수현 학생(박태관 교수님 Lab), 로슈 마르코 폴로 심포지움에서 최우수 포스터상 수상!
|
과사무실 | 2009.09.22 | 1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