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KAIST 생명과학과 신은주 박사, 존스 홉킨스 대학교 신경과학과 이대열 교수, KAIST 생명과학과 정민환 교수, KAIST 뇌인지과학과 백세범 교수

< (왼쪽부터) KAIST 생명과학과 신은주 박사, 존스 홉킨스 대학교 신경과학과 이대열 교수, KAIST 생명과학과 정민환 교수, KAIST 뇌인지과학과 백세범 교수 >

 

두뇌가 수행해야 하는 여러 가지 기능 중에는 감각 정보 처리와 같이 순간적인 것에서부터 기억과 같이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그 내용이 보존되어야 하는 것도 있다한미 공동 연구진은 이런 뇌 신경 활동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시간적 스케일에 대한 보편적 패턴을 파악하여 뇌의 다양한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신경망 회로 구조를 이해하는 길을 열었다. 

우리 대학 뇌인지과학과 백세범 교수와 생명과학과 정민환 교수존스홉킨스대학교 이대열 교수 연구팀이 다양한 포유류 종의 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영역별 신경 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패턴을 확인함으로써 뇌가 정보를 표상하는 원리를 이해하는 데에 한 걸음 더 나아갔다고 24일 밝혔다. 

인간의 뇌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영역인 대뇌피질은 시각피질과 같이 감각 정보를 담당하는 영역부터 전전두엽 피질과 같이 고등 인지를 담당하는 영역까지 순차적인 위계 구조로 되어있다. 

연구팀은 신경 활동의 시간적 스케일이 위계가 낮은 영역에서부터 위계가 높은 영역에 이르기까지 점점 증가하는 것을 관측했다뇌의 상위 영역으로 갈수록 정보처리를 위해 상대적으로 긴 시간적 스케일을 사용하는 신경 활동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또한 연구팀은 이와 같은 경향성이 영장류와 설치류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함으로써포유류의 뇌 진화에서 다양한 과제 처리를 위한 시간적 스케일이 중요한 공통의 변수였음을 밝혀냈다. 

한편 시상(thalamus)*과 같은 영역은 대뇌피질과 강하게 연결돼 있음에도 시간적 스케일의 위계적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도 알아냈다.

*시상대뇌 깊은 곳에 위치한 타원형의 핵 집합체로서감각 정보를 대뇌피질로 전달하는 중계국’ 역할을 함시상을 통해 들어온 정보는 대뇌피질의 각 부분으로 전달되어인식·판단·조절과 같은 더 높은 수준의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됨. 

이전의 연구들은 인간원숭이설치류 뇌의 대뇌피질 영역에서 자발적 신경 활동의 시간 스케일이 해부학적 계층이 높을수록 길어지는 상관관계를 보였다그러나 실제로 정보를 표상하는 활동을 할 때 시간 스케일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그림 1. 영장류와 설치류 뇌에서 뉴런의 자발적 활동과 정보 표상 활동의 시간 스케일이 여러 대뇌피질 영역에 걸쳐 계층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림

< 그림 1. 영장류와 설치류 뇌에서 뉴런의 자발적 활동과 정보 표상 활동의 시간 스케일이 여러 대뇌피질 영역에 걸쳐 계층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림 >

 

연구팀은 의사 결정 행동을 수행하고 있는 원숭이(rat), 생쥐(mouse)의 뇌에서 측정한 신경 활동을 자발적 요소와 행동 관련 요소로 나눠 두 유형의 시간 스케일의 변화가 여러 대뇌피질 영역에서 계층이 높아질수록 길어지는 양상을 나타내는지 분석했다나아가 대뇌피질과 직접적인 연결이 존재하는 영역인 시상까지 분석의 범위를 확장하여 신경 활동의 시간적 스케일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연구팀은 뉴런의 자발적 활동뿐 아니라 의사 결정 행동 관련 활동의 시간 스케일 역시 세 종의 대뇌피질에서 상위 정보 처리 영역으로 올라갈수록즉 해부학적 계층이 높아질수록 길어지는 반면뇌의 다른 영역인 시상에서의 신경 활동 시간 스케일은 대뇌피질의 신경 활동의 시간보다 전반적으로 짧고계층적 변화의 양상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 

백세범 교수는 포유류의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원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인 신경 활동의 시간적 스케일이 해부학적 계층에 따라 변하는 보편적인 구조적 패턴을 밝힘으로써뇌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신경망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하며 이번 성과는 연구진들의 밀접한 국제적 협력을 통한 결과이기에 더 뜻깊다고 덧붙였다.

그림 2. 포유류 뇌에서 정보 표상의 시간적 스케일의 중요성을 의미하는 일러스트레이션

< 그림 2. 포유류 뇌에서 정보 표상의 시간적 스케일의 중요성을 의미하는 일러스트레이션 >

 

이번 연구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NAS)에 지난 13일 게재됐다. (논문명: Hierarchical gradients of multiple timescales in the mammalian forebrain, DOI: 10.1073/pnas.2415695121)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KAIST 특이점교수 사업 및 기초과학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4275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4 "당뇨병 합병증 치료단백질 개발!" - 고규영교수팀 과사무실 2006.03.14 14887
453 "어, 해독제가 항생제로 바뀌네" - 김학성 교수팀 단백질 설계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6.02.06 14730
452 '마크로젠 과학자상'에 카이스트 김진우 교수 선정 생명과학과 2017.09.12 17293
451 1단계 BK21사업 성과보고대회 - 우수사업단 선정 및 부총리 표창 과사무실 2005.12.19 12318
450 2005학년도 석림학술장학재단 장학생 - 이영석 박사과정 학생 선정 과사무실 2005.12.29 13288
449 2007년 국가지정 연구실 선정.. 최길주 교수 연구실 과사무실 2007.07.20 13734
448 2008년 개교 37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8.02.14 13351
447 2008년도 자연과학대학 우수 강의 교원 및 우수 직원 포상 과사무실 2008.04.29 13786
446 2009년 개교 38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9.02.17 12419
445 2010년 개교 39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10.02.11 12602
444 2011년 개교 40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11.02.11 12040
443 2012년 개교 41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12.02.10 11678
442 2014년 개교 43주년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14.02.14 12569
441 2015년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 선정 / Announcement of KAIST's Top 10 Research Accomplishments of 2015 생명과학과 2016.03.07 12094
440 2020 Spring KAIST Compass 생명과학과 2020.05.07 3883
439 2020년 우수논문상 file 생명과학과 2020.04.03 4886
438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681
437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1672
436 2단계 BK21 1차년도 연차평가결과 -생물분야 1위! 과사무실 2007.10.09 13112
435 2단계 BK21 <b>2년 연속 생물분야 1위!</b> 과사무실 2008.09.10 125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