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홍보용그림.jpg


논문제목

Optogenetic protein clustering through fluorescent protein tagging and extension of CRY2

Park H*, Kim NY*, Lee S, Kim N, Kim JH, Heo WD.

 

논문초록

Protein homo-oligomerization is an important molecular mechanism in many biological processes. Therefore, the ability to control protein homo-oligomerization allows the manipulation and interrogation of numerous cellular events. To achieve this, cryptochrome 2 (CRY2) from Arabidopsis thaliana has been recently utilized for blue light-dependent spatiotemporal control of protein homo-oligomerization. However, limited knowledge on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CRY2 obscures its widespread applications. Here, we identify important determinants for efficient cryptochrome 2 clustering and introduce a new CRY2 module, named ‘‘CRY2clust’’, to induce rapid and efficient homo-oligomerization of target proteins by employing diverse fluorescent proteins and an extremely short peptide. Furthermore, we demonstrate advancement and versatility of CRY2clust by comparing against previously reported optogenetic tools. Our work not only expands the optogenetic clustering toolbox but also provides a guideline for designing CRY2-based new optogenetic modul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60
403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00
402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40
401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151
400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153
399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85
398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195
397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195
396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250
395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53
394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262
393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279
392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280
391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302
390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304
389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313
388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318
387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321
386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325
385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32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