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609180810161&code=100100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609180810161&code=100100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뇌에서 시냅스 생성을 촉진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은 뉴로리긴(neuroligin)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발견된 시냅스 가교 단백질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 교수팀은 ‘엔지엘(NGL)’이라는 단백질이 흥분성 시냅스의 생성에 관여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고 17일 밝혔다.

시냅스 가교 단백질을 찾아낸 것은 1996년 발견된 뉴로리긴에 이어 2번째로 향후 시냅스 생성 원리와 다양한 뇌질환 발병 원인을 추정할 수 있게 됐다.

영국 과학잡지 네이처는 이러한 의미를 인정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9월호에 김교수팀의 연구 논문을 게재했다.

시냅스는 신경세포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해주는 아주 미세한 공간이다. 우리 뇌는 약 1천억개 이상의 신경세포가 있고 각 세포는 표면에 1만여개의 시냅스가 뻗어있어 복잡한 신경회로망을 구성한다.

김교수팀은 시냅스의 한쪽 끝에 있는 엔지엘 단백질이 다른쪽 끝의 네트린지(netrin-G) 단백질과 연결돼 새로운 시냅스를 만들어내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시냅스가 단순히 신경전달물질의 화학작용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생명체의 주요 구성물질인 단백질에 의해 조절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또 첫번째 가교 단백질인 뉴로리긴이 정신지체 및 자폐증과 관련이 깊은 만큼, 엔지엘 단백질도 주요한 뇌질환과 연결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교수는 “시냅스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뇌 발달이 되지 않고 시냅스가 끊기면 뇌 기능이 마비되기도 한다”며 “다양한 뇌질환의 원인을 연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향신문, 이은정 과학전문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5 [정현정 교수님] 부작용·내성 극복한 신개념 칸디다증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5.07.10 25
464 [서성배, 이승희 교수님] 뇌는 포도당을 구별한다..비만·당뇨 치료의 단서 찾아​ 생명과학과 2025.07.10 47
463 [이흥규 교수님] 장내 미생물로 난치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생명과학과 2025.07.02 134
462 [이흥규 교수님] 짠 음식의 뇌종양 악화 유발 원인 세계 최초 밝혀​ 생명과학과 2025.06.04 325
461 [김세윤 교수님] 2025 KAIST 교육혁신의 날 KAIST 교육혁신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5.05.21 348
460 [허원도 교수님] 2025 KAIST 리서치데이에서 KAIST 대표연구성과 10선 선정 생명과학과 2025.05.23 404
459 [허원도 교수님] 세계 최초 유전자 가위로 원하는 RNA ‘콕’ 집어 아세틸화 성공 생명과학과 2025.06.10 411
458 [정현정 교수님] 슈퍼박테리아 방패 ‘바이오필름’ 무력화 치료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5.05.30 481
457 [한진희 교수님] 심리적 공포기억 조절 뇌 회로 최초 규명-트라우마 치료 새 전기​ 생명과학과 2025.05.15 493
456 제1회 강창원 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5년 3월 5일) file 생명과학과 2025.03.26 783
455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812
454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883
453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893
452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896
451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975
450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998
449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1032
448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1041
447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1093
446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110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