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온실가스를 바이오 물질로 전환"…미생물 활용한 '인공광합성' 성공
KAIST 조병관 교수
                                                               

KAIST는 조병관 생명과학과 교수(사진) 연구팀이 기후 변화 요인인 C1 가스(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메탄 등 탄소 1개로 된 가스)를 부가가치가 높은 바이오 화학물질로 전환하는 인공광합성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발표했다.


C1 가스는 화석연료와 바이오매스, 폐기물의 가스화 과정에서 나온다. 온실효과, 환경오염 등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세계 각국이 C1 가스 리파이너리 기술 개발에 공을 들이는 이유다.

연구팀은 인공광합성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C1 가스를 아세트산으로 전환하는 아세토젠 미생물을 활용했다. 이 미생물은 바이오 촉매로서 잠재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돼왔다. 하지만 환원에너지를 값비싼 수소가스나 당에서 얻기 때문에 배양과정이 복잡하고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값이 싼 전기에너지로 당이나 수소를 대체하는 시스템이 고안돼 왔다. 전극 표면에 아세토젠 미생물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 역시 제한된 면적의 전극 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 미생물 세포 수에 한계가 있고, 세포 수가 늘어나면 전기에너지 전달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빛을 받아 전자를 내놓는 나노 크기의 광전극인 광나노 입자에 주목했다. 광나노 입자를 미생물에 합성하면 세포 수가 늘어나도 전기에너지 효율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고효율 광나노 입자를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했다. 이를 아세토젠 미생물의 표면에 부착해 인공광합성 시스템을 구현했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로 기존 인공광합성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했다”며 “광나노 입자로부터 생성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인공미생물 개발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https://www.etnews.com/20210309000100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103097058i

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4460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33
73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1321
72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378
71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688
70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69
69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743
68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721
67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1286
66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558
65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2227
64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703
63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300
62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389
61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288
60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456
59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554
58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1946
57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1408
56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889
55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348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