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Merck-KAIST장학생_학과홈페이지_사진.jpg

 

 

유지환 학생, Karen Madden (CTO of Merck Life Science), 김희수 학생. (왼쪽부터) KAIST 제공

 

Merck-KAIST 국제 장학생 프로그램 장학금 대상자로 생명과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유지환학생이 선정되었다.

지난 8 KAIST 본원 캠퍼스에서 Merck-KAIST 국제 장학금 프로그램 시상식이 개최되었다. 2024년 올해 장학금 수여자로는 1차 서류 심사와 2차 프레젠테이션 심사를 거쳐 Material Science 분야 전기전자공학부 박사과정 김희수 학생, Synthetic Biology 분야 생명과학과 유지환 학생이 선정되었다.

유지환 학생은 CRISPR-Cas13 시스템을 엔지니어링해 생체 내 RNA를 조절하는 연구 내용을 주제로 장학생에 선정되었다.

선발 혜택으로는 최대 3년간 매년 30,000€의 장학금이 지급되며, 해외 체류 공동 연구시 해당 기간에 한해 별도의 50% 추가 장학금이 지급된다.

한편, Merck-KAIST 국제 장학금 프로그램은 Merck KAIST MOU 체결의 일환으로 올해 처음 개설되었다. Merck는 올해부터 매년 2개의 연구 분야에 대해 국제 장학금 프로그램 장학생을 모집할 계획임을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2285
353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640
352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1491
351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690
350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1567
349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45
348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1961
347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1405
346 서성배 교수님(김보람 연수연구원)_제20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21.09.27 2289
345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1633
344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645
343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1858
342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1643
341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1597
340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1735
339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1604
338 정인경 교수님_유전자 온-오프 스위치 비밀 밝히는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07.26 2237
337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1901
336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754
335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18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