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8/28/2007082801359.htm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8/28/2007082801359.html국내 연구진이 충치(蟲齒) 예방 효과가 있는 천연감미료 자일리톨(xylitol)을 기존의 화학생산법 대신 미생물을 이용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에 따라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자일리톨의 국산화는 물론, 6000억원 규모의 세계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KAIST 생명과학과 김정회(金政會·55) 교수는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해 세계 최고 수율(收率)로 자일리톨을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 균주 ‘캔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lis)’와 생산공정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지금까지 자일리톨은 자작나무와 옥수수 속대 등에서 원재료인 자일로스를 추출한 후 니켈 촉매가 들어가는 화학반응을 거쳐 생산해 왔다. 그러나 화학생산법은 공정이 복잡해 생산 비용이 높고, 환경과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인 니켈을 사용하는 단점이 있었다. 김 교수는 “화학생산법에서는 정제 과정에서 원재료가 유실돼 최종 자일리톨 생산 수율이 50~60%에 그쳤다”며 “미생물은 정제 과정 없이 원재료를 바로 자일리톨로 바꿔 수율이 98%에 이르며, 20% 이상 원가 절감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세계 자일리톨 시장은 최근 2~3년간 연평균 35% 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올해 시장 규모는 60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영완 기자 ywlee@chosun.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2 이주용 박사, 김세윤 교수, PNAS지에 논문 게재 / PhD Joo-Yong Lee and Prof, Seyun Kim published a paper in PNAS 생명과학과 2016.07.04 19023
341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2197
340 이승희 교수님_KAIST, 뇌 인지기능 높이는 물질 발견… 치매 치료 효과 기대 file 생명과학과 2020.04.26 6483
339 이승희 교수, 송유향, 김재현 박사과정 학생 Neuron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17.02.13 19490
338 이승재 교수님_One More Key to Human Longevity Found After Worm Research 생명과학과 2020.07.03 13493
337 이승재 교수, 한성과학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07.01 7761
336 이승재 교수, 올리브유의 노화 방지 및 장수 효과 입증 file 생명과학과 2019.08.22 7214
335 이상열 교수(박사 85) KAIST 올해의 동문 선정 과사무실 2005.01.04 16773
334 이상기 박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취임 과사무실 2005.07.12 15050
333 이균민 교수, 교무처장 인사 발령 과사무실 2010.07.15 13060
332 이균민 교수 생명과학과 학과장 취임 과사무실 2007.09.13 14229
331 이규리 학생(박태관 교수님 Lab), ICMAT 2009 & IUMRS-ICA 2009 Best Poster Award 수상 과사무실 2009.07.13 15109
330 윤기준 교수, '2019 서경배과학재단 신진 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19.09.23 7461
329 우주연 학생(김은준 교수님 Lab), 로레알-유네스코 펠로쉽 수상 과사무실 2009.06.23 19029
328 오병하 교수님_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2341
327 오병하 교수, 제 9회 아산의학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6.03.14 19805
326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2249
325 송지준교수, 조수민 연구교수, 장주원 박사과정학생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20.01.02 61715
324 송지준 교수, 김은지 박사 Molecular Cell에 논문 게재(2015) / Prof. Ji-Joon Song and PhD. Eun-Ji Kim published a paper at Molecular Cell (2015) 과사무실 2015.07.29 15948
323 송지준 교수, PNAS 게재 (2012.8) 과사무실 2012.12.10 1608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