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조회 수 14615 댓글 0
http://www.nature.com/cgi-taf/DynaPage.taf?file=/ng/journal/vaop/ncurrent/abs/ng1513.htmlhttp://www.nature.com/cgi-taf/DynaPage.taf?file=/ng/journal/vaop/ncurrent/abs/ng1513.html김재섭 교수님의 논문이 'Nature Genetics' 저널에 게재 되었습니다.

"Pyrexia is a new thermal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 endowing tolerance to
high temperatures in Drosophila melanogaster"
(Published online: 30 January 2005 | doi:10.1038/ng1513)

| Abstract |

..

김재섭 교수팀은 제넥셀(주)가 2003년에 세계 최초로 완성한 형질전환초파리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고온 자극으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유전자를 발견하였다. 이 유전자는 열병을 뜻하는 파이렉시아(Pyrexia)라고 명명되었다.

파이렉시아는 alternative transcription에 의하여 Pyx-PA와 Pyx-PB의 두 가지 TRP family 단백질을 만든다. 이 TRP 채널은 Xenopus oocyte과 HEK293T cell에서 섭씨 39도 이상의 고온에 의해 열린다. 파이렉시아는 생체내에서 Pyx-PA와 Pyx-PB의 heteromer로 존재하는 데, 이 heteromeric 채널은 이제까지 알려진 다른 thermo-TRP channel과는 달리 K+ 이온을 더 선택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신경세포가 고온에 대해 과도하게 흥분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경 기능을 보호한다. 이 채널의 기능이 약화된 초파리는 섭씨 40도 고온에서 3분 내에 마비현상을 보이지만, 이 채널을 과량 발현하는 초파리는 고온에 대해 높은 내성을 보인다.

파이렉시아 채널을 인위적으로 작동시키는 화합물을 개발할 경우, 이 화합물은 과도한 마약이나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성 자극으로부터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제네틱스 (Nature Genetics) 3월호에 계제될 예정이며, 1월 31일자로 인터넷 ( http://www.nature.com/ng/ )에 먼저 공개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6 "어, 해독제가 항생제로 바뀌네" - 김학성 교수팀 단백질 설계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6.02.06 14847
355 생명과학과 김정회 교수... 대전광역시 주최 이달의 과학기술인 상 선정 과사무실 2007.10.05 14815
354 김진우 교수, 김남석 박사 eLife지 논문 발표 (2014. 9) 과사무실 2014.09.11 14809
353 ‘올해의 KAIST 교수상’ - 김재섭 교수 과사무실 2005.12.30 14787
352 이규리 학생(박태관 교수님 Lab), ICMAT 2009 & IUMRS-ICA 2009 Best Poster Award 수상 과사무실 2009.07.13 14770
351 한국, 신종 박테리아 발표건수 68종 세계 1위 - 이성택 교수 세계 2위 과사무실 2005.12.19 14751
350 임대식 교수 논문 Nature Cell Biology 게재 1 과사무실 2004.01.26 14741
349 이상기 박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취임 과사무실 2005.07.12 14733
348 학사과정 김혜림, 국립암센터 인턴쉽 포스터발표 최우수상 수상 과사무실 2010.09.07 14719
347 [대덕넷] 생명과학과 정종경교수... 과기부 2분기 우수과학자 10인 선정 과사무실 2007.09.04 14718
346 목혜정 박사와 이수현 학생(박태관 교수님 Lab), 로슈 마르코 폴로 심포지움에서 최우수 포스터상 수상! 과사무실 2009.09.22 14714
345 [중앙일보] 생명과학과 박지혜 '로레알 여성생명과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6.06.22 14689
344 최길주 교수, 정진길 박사 Nature Communications지 논문 게재 (2014. 8) 과사무실 2014.09.11 14687
343 최광욱 교수, 2014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Top5 선정 / Prof. Kwang-Wook Choi was selected as Top 5 news of 2014 in domestic bio research field 과사무실 2015.01.15 14684
342 최은비 박사과정 학생(김미영 교수 실험실) Oncogene 게재(2016.02) / Eun-Bee Choi, a Ph.D candidate in Prof. Mi-Young Kim’s lab published a paper in Oncogene (2016.02) 생명과학과 2016.03.07 14666
341 [매일경제] 고규영 교수 "혈관생성물질 세계 첫 개발" 과사무실 2004.04.14 14660
340 이준식 교수 IAFOST Fellow 선출 과사무실 2003.09.08 14647
» 김재섭 교수 논문 Nature Genetics 게재 과사무실 2005.01.31 14615
338 [대덕넷] 임대식 교수"癌 억제하는 유전자 기능 밝혀졌다" 과사무실 2004.02.06 14615
337 생명과학과 권창섭 연구교수... Trends in Genetics지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07.08.20 1461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