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김세윤 교수, 이노시톨 대사효소에 의한 패혈증 유발 염증신호전달 규명

 

 

 

 

 

<김은하 학생>      <김세윤 교수>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세윤 교수 연구팀이 이노시톨 생합성 대사의 핵심효소인 IPMK (Inositol polyphosphate multikinase)에 의하여 패혈증과 같은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신호전달네트워크가 정교하게 조절됨을 규명했다.

 

김은하 박사과정학생이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서울대학교 성노현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됐고,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Science Advances)지에 421일 게재됐다.

 

이노시톨 대사체 및 생합성 대사를 지난 수년 간 연구한 김세윤 교수 연구팀은 이노시톨 다인산 멀티키나아제 효소 (IPMK)에 의한 세포 성장 및 에너지 대사조절 기능을 다각적으로 밝힌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식세포 (macrophage) 특이적으로 IPMK 효소가 결핍된 생쥐에서 패혈성 쇼크를 유발시켰을 때 염증수준이 현저히 저하되고 또한 높은 생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선천성 면역의 핵심인 염증반응이 강력하게 저해됨을 시사한다.

 

IPMK 효소가 면역신호조절물질인 TRAF6 단백질과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TRAF6 단백질의 분해를 조절하는 유비퀴틴화를 억제함을 규명하였으며, 또한 IPMK효소와 TRAF6단백질간의 결합력을 저해할 수 있는 펩타이드를 개발, 활용함으로써 내독소에 의한 염증반응을 낮출 수 있음을 다각적으로 검증하였다.

 

미생물 감염등에 의한 패혈증 발병의 분자적 기전을 규명함과 동시에 최근 급증하는 선천 면역 질환 (. 신경계 염증질환 및 당뇨)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고 새로운 치료기술개발에 필요한 학문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크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http://advances.sciencemag.org/content/3/4/e1602296

 

 

□ 그림 설명

           대식세포 내 선천성 면역반응 전달에서의 IPMK 효소의 신호전달기능

(왼쪽) 대식세포 내 IPMK 존재 시, TRAF6단백질에 결합하여 단백질을 안정화하여, 내독소에 의한 면역신호전달 과정에 참여하게 되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켜 과다한 염증반응으로 인한 패혈증이 유발됨.

(오른쪽) 대식세포 내 IPMK 부재 시, TRAF6단백질의 분해 신호인 유비퀴틴화가 진행되어 단백질 수준이 감소하고, 내독소에 의한 면역신호전달 과정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되고 과다한 염증반응으로 인한 패혈증으로부터 보호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0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468
349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630
348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601
347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444
346 서성배 교수님(김보람 연수연구원)_제20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21.09.27 1194
345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562
344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616
343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733
342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650
341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480
340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644
339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551
338 정인경 교수님_유전자 온-오프 스위치 비밀 밝히는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07.26 1052
337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704
336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708
335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635
334 정원석 교수님_KAIST, 신경세포의 흥분성 증가로 인한 뇌 질환 기제 규명 생명과학과 2021.06.03 1342
333 서성배 교수님_Gut hormone triggers craving for more proteins 생명과학과 2021.05.18 672
332 손종우 교수님_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생명과학과 2021.05.17 584
331 손종우교수님 UTSW – UT Dallas 국제 공동 연구팀 연구성과_Scientists Identify Source of Weight Gain From Antipsychotics 생명과학과 2021.05.14 99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