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고규영 교수ㆍ조정현 박사팀이 개발한 혈관생성 단백질'콤프안지원(COMP-Ang 1)' 은 앞으로 심장병과 혈관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여러 질병에 획기적인 치료법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는 심장병, 심근경색, 뇌졸중 등 허혈성 심장과 뇌질환을 치료하는 데'VEGF' 라는 단백질이 사용됐다. 그러나 이 물질은 급속하게 혈관을 치료하는기능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완전한 혈관을 생성해 차후 부종이나 염증, 암등 부작용을 많이 야기했다.
이번에 개발된 콤프안지원은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 자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유도하는 물질이므로 건강한 혈관을 생성할 수 있다. '콤프안지원' 은 생물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를 재생하고 활성화하는 물질인 안지오포이에틴을 인공적으로 합성해 개발한 단백질이다. 안지오포이에틴은 심장병, 심근경색 등 혈관계 질환들을 거의 완벽하게 치료할수 있어 일찍부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물질 분자구조가 너무 크고 복잡해 인공적으로 합성하고 약물화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고규영 교수는 이 물질의 아미노산을 특성이 비슷한 세포구성물질인 콤프로 대체해 분자구조를 단순화하고 규모도 줄여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물질 우수성도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국 과학기술 관련 학술지인 '국립학술원학회지' 는 고 교수 연구결과를 이달에 상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또 미국에 물질개발과 관련한 특허를 출원해 현재 심사가 진행되고 있다.
고 교수는 "앞으로 4~5년 안에 상용화해 치료약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 이라며 "대량생산체제를 갖추고 본격적으로 상용화하면 연간 200억~500억원가량 치료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이명진 기자>
매일경제 2004-04-13
List of Articles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349 |
홍성태 박사, 하국선 박사, 2011년도 이공분야 "학문후속양성사업" 선정!
|
과사무실 | 2011.09.16 | 14892 |
348 |
한진희 교수, 원혜정 학생(김은준 교수 Lab) 2009' 청암 과학펠로 선정!
|
과사무실 | 2009.11.27 | 14847 |
347 |
최길주 교수, Plant Cell 2월호에 논문 게재
|
과사무실 | 2009.04.02 | 14803 |
346 |
홍철암 박사과정(김학성 교수 Lab), ICMAT 2011에서 The Best Poster Award 수상!
|
과사무실 | 2011.07.06 | 14658 |
345 |
김진우 교수 경력개발상 수상
|
과사무실 | 2007.04.10 | 14640 |
344 |
김은준 교수 창의과제 신규 선정
|
과사무실 | 2003.09.08 | 14608 |
343 |
최길주 교수, PNAS(P Natl Acad Sci USA) 4월호에 논문 게재
|
과사무실 | 2009.04.23 | 14596 |
342 |
강창원, 김은준 교수팀, ADHD 유전자 찾았다
|
과사무실 | 2011.04.18 | 14497 |
341 |
[동아일보] 한국 과학에 세계가 또 놀라다 -정종경교수팀
|
과사무실 | 2006.05.04 | 14478 |
340 |
임대식 최길주 교수 승진 인사발령
|
과사무실 | 2004.09.01 | 14427 |
339 |
최광욱 교수, 홍성태 박사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9) / Prof. Kwang-Wook Choi and Dr. Sung-Tae Hong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
생명과학과 | 2016.10.06 | 14411 |
338 |
임대식 교수, 김민철 박사 Cell Reports 에 논문 게재(2015.03) / Professor Dae-Sik Lim and Min Cheol Kim, Ph.D Publish in Cell Reports (2015.03)
|
과사무실 | 2015.04.06 | 14353 |
337 |
송지준 교수, PNAS 게재 (2012.8)
|
과사무실 | 2012.12.10 | 14315 |
336 |
김대수 교수 생명과학과 부임
|
과사무실 | 2004.09.01 | 14292 |
335 |
송지준 교수, 김은지 박사 Molecular Cell에 논문 게재(2015) / Prof. Ji-Joon Song and PhD. Eun-Ji Kim published a paper at Molecular Cell (2015)
|
과사무실 | 2015.07.29 | 14287 |
334 |
[매일경제] 김은준 교수"퍼즐놀이하듯 신경세포 연구"
|
과사무실 | 2003.09.23 | 14212 |
333 |
김은준 교수 연구팀, 자폐증 치료 가능성 열어
|
과사무실 | 2012.06.15 | 14198 |
332 |
허원도 교수, Nature Communications지 논문 게재 (2014. 6)
|
과사무실 | 2014.06.05 | 14192 |
331 |
서연수 교수 생명과학상 수상
|
과사무실 | 2003.09.08 | 14160 |
330 |
KAIST 김태국 교수 신약개발 사이언스지 발표
|
과사무실 | 2005.07.01 | 14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