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제17회 아산의학상 수상자인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 생명과학 연구클러스터 연구소장, 김원영 울산대 의대 교수,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 오탁규 분당서울대병원 교수(왼쪽부터)

제17회 아산의학상 수상자인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 생명과학 연구클러스터 연구소장, 김원영 울산대 의대 교수,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 오탁규 분당서울대병원 교수(왼쪽부터)

아산사회복지재단은 21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서울에서 제17회 아산의학상 시상식을 열고 기초의학부문 수상자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 생명과학 연구클러스터 연구소장, 임상의학부문 수상자 김원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서울아산병원 응급실장)에게 각각 시상한다.

이창준 소장은 뇌세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신경세포를 보조하는 역할로만 알려졌던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 연구로 치매·파킨슨병 등 난치성 뇌 질환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또한 별세포 중 ‘반응성 별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하는 등 퇴행성 뇌질환에서 별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제시해왔다.

 

김원영 교수는 20여년간 응급의학과 전문의로 심정지·패혈증·급성호흡부전 등 중증 응급환자의 치료법 개선에 전념해 오면서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의 심폐소생술 생존율을 국내 평균 5%의 6배인 30%에 가깝게 끌어올린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 교수는 심폐소생술로 생존한 후 바로 추가치료를 받아야하는 심정지 환자의 심전도 검사결과를 분석해, 심혈관 질환이 아니라 뇌 지주막하 출혈이 원인인 환자를 바로 판별해내는 시스템도 개발했다.

40세 이하의 의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젊은의학자부문에선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와 오탁규 분당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수상했다. 정 교수는 3차원 게놈 지도를 해독해 파킨슨병 등의 질환 유전자가 활성화되는 기전을 규명한 성과를, 오 교수는 국내 마약성 진통제 오남용 실태 연구로 처방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제시한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2008년 아산의학상을 제정한 아산사회복지재단은 심사위원회와 운영위원회의 심사과정을 거쳐 올해 수상자를 선정했다. 아산사회복지재단은 기초·임상의학부문에는 각각 3억 원, 젊은의학자부문은 각각 5000만원 등 4명에게 총 7억원의 상금을 수여해 뛰어난 업적을 이룬 국내·외 의과학자를 격려하고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https://www.khan.co.kr/life/health/article/2024032111070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124
33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493
32 [강석조 교수님] DNA 인식 선천면역인자의 방호패치 발견​ 생명과학과 2023.12.05 1255
31 [KAIST NEWS] 이준식 교수 정년퇴임 과사무실 2003.09.18 21771
30 [HOT100 2019-2020]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질병극복 선도 최고의 과학인재 양성 생명과학과 2019.04.01 8163
29 Thao Phuong Le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6.05) / Thao Phuong Le,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1 11848
28 Raghu P. Kataru(고규영 교수님 Lab), Blood 지 게재 승인 과사무실 2009.04.06 13757
27 KAIST-원진 세포치료센터 기부 및 투자 약정 업무협약식 생명과학과 2021.02.22 2222
26 KAIST 김태국 교수 신약개발 사이언스지 발표 과사무실 2005.07.01 15175
25 KAIST 김승중 교수 (생명과학과 겸임교수) 대한민국바이오의약품대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11.04 6429
24 KAIST iGEM팀(조병관 교수 지도) 2012 World Championship 진출 file 과사무실 2012.10.12 22868
23 BK21생물사업단(생명과학과) 생물분야 1위! 과사무실 2011.09.02 12519
22 BK21사업 생물사업단 2단계 종합평가 결과 '매우우수', 교과부장관 표창! 과사무실 2012.09.07 13189
21 BK21 생물사업단, 2단계 사업 1,2,3차년도 연차평가 생물분야 연속 1위! 과사무실 2009.12.29 14029
20 2단계 BK21 <b>2년 연속 생물분야 1위!</b> 과사무실 2008.09.10 12546
19 2단계 BK21 1차년도 연차평가결과 -생물분야 1위! 과사무실 2007.10.09 13112
18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1672
17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681
16 2020년 우수논문상 file 생명과학과 2020.04.03 4885
15 2020 Spring KAIST Compass 생명과학과 2020.05.07 3883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