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609180810161&code=100100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609180810161&code=100100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뇌에서 시냅스 생성을 촉진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은 뉴로리긴(neuroligin)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발견된 시냅스 가교 단백질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 교수팀은 ‘엔지엘(NGL)’이라는 단백질이 흥분성 시냅스의 생성에 관여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고 17일 밝혔다.

시냅스 가교 단백질을 찾아낸 것은 1996년 발견된 뉴로리긴에 이어 2번째로 향후 시냅스 생성 원리와 다양한 뇌질환 발병 원인을 추정할 수 있게 됐다.

영국 과학잡지 네이처는 이러한 의미를 인정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9월호에 김교수팀의 연구 논문을 게재했다.

시냅스는 신경세포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해주는 아주 미세한 공간이다. 우리 뇌는 약 1천억개 이상의 신경세포가 있고 각 세포는 표면에 1만여개의 시냅스가 뻗어있어 복잡한 신경회로망을 구성한다.

김교수팀은 시냅스의 한쪽 끝에 있는 엔지엘 단백질이 다른쪽 끝의 네트린지(netrin-G) 단백질과 연결돼 새로운 시냅스를 만들어내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시냅스가 단순히 신경전달물질의 화학작용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생명체의 주요 구성물질인 단백질에 의해 조절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또 첫번째 가교 단백질인 뉴로리긴이 정신지체 및 자폐증과 관련이 깊은 만큼, 엔지엘 단백질도 주요한 뇌질환과 연결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교수는 “시냅스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뇌 발달이 되지 않고 시냅스가 끊기면 뇌 기능이 마비되기도 한다”며 “다양한 뇌질환의 원인을 연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향신문, 이은정 과학전문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351
54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1349
53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2017
52 [김상규 교수님] 생명과학과의 낭만과학자 Eco Lab 대표 김사부(KAIST 유튜브) 생명과학과 2023.12.12 1340
51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1606
50 [김상규 교수님] 누구나 천연물 합성 경로 예측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8.14 1186
49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848
48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1785
47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1558
46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1420
45 [김대수 교수님] 제약바이오협회,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개최 생명과학과 2022.03.28 3629
44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1422
43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1434
42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745
41 [김대수 교수님] '유퀴즈' 뇌과학자 김대수, 깻잎 논쟁 "절대로 해선 안 되는 행동" 생명과학과 2022.02.17 2468
40 [교육부] BK21사업 제2회 중간평가 결과 발표 과사무실 2004.12.09 13227
» [경향신문] 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9.18 14339
38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1482
37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1250
36 [강창원 명예교수님] 바이러스와 세균의 진화를 규명하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056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