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연구진 단체 사진

< (왼쪽부터) 강준상, 박지민, 박윤수, 김재경, 홍성우 교수 >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을 연구하는 젊은 유능한 과학자들을 매년 선발해 지원하는 포스코 사이언스펠로십에 우리 대학 신진 교수가 대거 선정됐다.

포스코 청암재단은 수학·물리학·화학·생명과학·금속/신소재·에너지소재 등 총 6개 분야에 걸쳐 30명의 연구자를 2024년도 펠로십 수혜자로 선정했다고 지난달 11일 발표했다우리 대학은 강준상(기계공학과), 김재경(생명과학과), 박윤수(화학과), 박지민(생명화학공학과), 홍성우(물리학과등 5인이 선정돼 올해 국내 대학 중 가장 많은 수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를 보유한 대학이 됐다.

강준상 기계공학과 교수는 UCLA 기계공학과에서 2019년도에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오리건주립대학교(OSU) 포스닥 펠로를 거쳐 2022년 8월에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에 부임했다현재 첨단 열 및 에너지 전달 연구실에서 차세대 방열기술 및 소재 개발첨단 반도체 패키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재경 교수는 우리 대학 바이오및뇌공학과에서 2017년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캠퍼스(UCSF)와 샌프란시스코 베테랑 어페어스(Veteran Affairs) 메디컬 센터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쳤다. 올해 7월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에 부임해 뇌과학·신경생물학·생리학·뇌질환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진행 중이며운동학습과 기억형성과정의 본질적인 신경 네트워크를 해석 및 변화유도에 중점을 두고 있다이와 함께(Rats) 운동피질에 결합된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학습 원리 및 학습 증진법과 발견한 뇌의 작동원리에 기반해 뇌 손상 이후 회복을 증진시키는 뇌자극 기법에 대한 연구도 수행 중이다.

박윤수 교수는 우리 대학 화학과에서 2019년 박사 학위를 받고프린스턴 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 과정을 거쳐 2022년 우리 대학 화학과로 부임했다현재 지속가능 촉매 연구실에서 분자 단위의 조절을 통해 귀금속 촉매를 대체하는 차세대 촉매를 구현하고이를 활용해 전례 없는 유기 합성 반응을 탐구하고 있다.

박지민 교수는 MIT 재료공학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Caltech) 생명공학과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재직했다올해 초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에 부임했으며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젊은 과학자 혁신 자문위원'으로 위촉되었다주 연구 분야는 '무생물-생물 인터페이스'로 인공 소재와 생명체를 연결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개발 중이다연구팀은 해당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바이오 및 소재 연구를 진행 중이며이번 포스코사이언스펠로십을 통해 금속 입자와 생체 분자가 결합한 신개념 촉매 소재를 발굴할 계획이다.

홍성우 교수는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 컬리지 파크에서 입자 이론 분야(theoretical particle physics)로 2017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코넬대에서 3년간의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쳐 2020년부터 시카고 대학 엔리코 페르미 연구소(Enrico Fermi Institute at University of Chicago)와 아르곤 국립 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에서 공동 박사 후 연구원을 지냈다. 2022년 우리 대학 물리학과에 부임했으며입자 물리 및 우주론에 존재하는 다양한 난제에 대한 이론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최근에는 범 지구 대칭(Generalized Global Symmetry)을 입자물리에 적용하여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선발된 연구자들에게 2년간 총 1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포스코사이언스펠로십은 탁월한 연구성과를 입증한 임용 3년 미만의 신진 교수를 대상으로 한다올해는 전국 17개 대학 307명의 신진교수가 지원서를 제출해 10대 1을 넘어서는 치열한 경쟁률을 보였으며이달 12일 서울 강남구 소재 포스코센터에서 증서 수여식을 개최했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3199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 개교 36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7.02.15 10591
66 박태관 교수 Bioconjugate Chemistry 편집위원 선임 과사무실 2007.01.02 12818
65 [동아일보] 위암 당뇨 ‘맞춤 치료’ 길 열린다…SNP 지도 첫 완성 과사무실 2006.12.14 14019
64 정종경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2월 수상자로 선정 과사무실 2006.12.11 12988
63 [한국경제] 한국인 생명과학자가 최근 발표한 주요 연구 과사무실 2006.11.13 18012
62 [한국경제] STRONG KOREA-한국인 과학자가 뛴다...생명과학 과사무실 2006.11.13 17842
61 세계의 벽 사뿐히 넘을 잠재력 가득 가능성 무한대… 미래 한국의 대들보 과사무실 2006.10.23 13345
60 [경향신문] 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9.18 14016
59 송세라, 박영균 학생 김보정 기초과학장학생으로 선발 과사무실 2006.09.12 13914
58 박태관 교수 나노연구혁신 대상(과학기술부 장관상) 수상 과사무실 2006.09.04 11460
57 [동아일보] 혈관형성 촉진제 이용 만성 신장질환 고쳐요-고규영교수 과사무실 2006.08.03 12329
56 [중앙일보] 생명과학과 박지혜 '로레알 여성생명과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6.06.22 14228
55 [동아일보] 노화억제 신약후보물질 개발…김태국 교수팀 과사무실 2006.06.12 12077
54 [대덕넷] 노화억제 비밀 밝혀낸 김태국 교수...연구성과 집대성 '풀베팅' 과사무실 2006.06.12 14845
53 [동아일보] 한국 과학에 세계가 또 놀라다 -정종경교수팀 과사무실 2006.05.04 15194
52 [동아일보] 뇌 신호전달 작동물질 첫 발견-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4.20 12761
51 "당뇨병 합병증 치료단백질 개발!" - 고규영교수팀 과사무실 2006.03.14 14609
50 고병삼 학생 외 3명 Bioneer Award (2006) 수상 과사무실 2006.03.07 14762
49 개교 35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 김태국 교수(학술상), 김학성 교수(국제협력상) 과사무실 2006.02.15 12643
48 "어, 해독제가 항생제로 바뀌네" - 김학성 교수팀 단백질 설계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6.02.06 14434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