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고규영 교수ㆍ조정현 박사팀이 개발한 혈관생성 단백질'콤프안지원(COMP-Ang 1)' 은 앞으로 심장병과 혈관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여러 질병에 획기적인 치료법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는 심장병, 심근경색, 뇌졸중 등 허혈성 심장과 뇌질환을 치료하는 데'VEGF' 라는 단백질이 사용됐다. 그러나 이 물질은 급속하게 혈관을 치료하는기능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완전한 혈관을 생성해 차후 부종이나 염증, 암등 부작용을 많이 야기했다.

이번에 개발된 콤프안지원은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 자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유도하는 물질이므로 건강한 혈관을 생성할 수 있다. '콤프안지원' 은 생물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를 재생하고 활성화하는 물질인 안지오포이에틴을 인공적으로 합성해 개발한 단백질이다. 안지오포이에틴은 심장병, 심근경색 등 혈관계 질환들을 거의 완벽하게 치료할수 있어 일찍부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물질 분자구조가 너무 크고 복잡해 인공적으로 합성하고 약물화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고규영 교수는 이 물질의 아미노산을 특성이 비슷한 세포구성물질인 콤프로 대체해 분자구조를 단순화하고 규모도 줄여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물질 우수성도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국 과학기술 관련 학술지인 '국립학술원학회지' 는 고 교수 연구결과를 이달에 상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또 미국에 물질개발과 관련한 특허를 출원해 현재 심사가 진행되고 있다.

고 교수는 "앞으로 4~5년 안에 상용화해 치료약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 이라며 "대량생산체제를 갖추고 본격적으로 상용화하면 연간 200억~500억원가량 치료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이명진 기자>

매일경제 2004-04-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339
24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334
23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334
22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334
21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327
20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325
19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321
18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320
17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313
16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304
15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302
14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280
13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279
12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262
11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53
10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250
9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196
8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196
7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85
6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156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