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석조 교수, 박지연 박사, 조유리 박사

< (왼쪽부터)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석조 교수, 박지연 박사, 조유리 박사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석조 교수 연구팀이 알레르기를 매개하는 중요한 면역세포인 호염구의 새로운 전구세포를 발견하고호염구 말단 분화단계에서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는 데 중요한 전사인자를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호염구(basophil)는 체내에 극소수로 존재하는 백혈구지만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다호염구의 혈액 내 증감을 통해서 알레르기 반응 정도를 판별할 수 있고질환의 면역 반응의 중증도에도 영향을 미친다호염구는 인체 내로 유입된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특이적인 Immunoglobulin E (IgE)에 대한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탈과립(degranulation)과 면역조절 물질인 사이토카인(cytokine)을 비롯해 다양한 염증 유도 물질들을 분비한다이를 통하여 호염구는 알레르기 반응을 매개하고 다른 면역세포들의 침윤을 도와 염증 반응을 심화시킨다하지만이러한 호염구의 초기 분화 과정 연구에 비해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는 말단 분화 과정과 이를 조절하는 인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강 교수 연구팀은 마우스 골수 내에서 호염구 전구세포(basophil progenitor, BaP)가 세포분열이 없는 최종 분화단계의 성숙한 호염구(mature basophil)로 분화하는 과정 중간에 위치한세포분열 능력을 보유한 새로운 전구세포를 발견하였으며 그 특성을 다양한 실험으로 규명하고 이행 호염구(transitional basophil, tBaso)’로 명명하였다이행 호염구의 발견을 통하여 강 교수팀은 호염구의 분화과정에서 변화하는 유전자 발현을 더욱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었으며 세포분열 및 주기 조절과 호염구의 고유한 기능의 조절에 관계하는 유전자의 발현은 분화단계에 따라 다르게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그림 1. 새로운 호염구 전구세포의 발견과 호염구의 분화 조절인자에 관한 연구 개요. 본 연구를 통하여 마우스 골수에서 호염구 전구세포, 이행 호염구를 거쳐 성숙 호염구로 분화가 진행됨을 밝혔으며, 분화단계에서 전사체의 발현 패턴을 4가지 그룹으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보이는 유전자의 기능적 특성을 함께 밝혔음. 이로부터 NFIL3가 호염구의 고유 기능 획득에 중요한 전사인자임을 규명하였음 (BioRender를 활용하여 그림)

< 그림 1. 새로운 호염구 전구세포의 발견과 호염구의 분화 조절인자에 관한 연구 개요. 본 연구를 통하여 마우스 골수에서 호염구 전구세포, 이행 호염구를 거쳐 성숙 호염구로 분화가 진행됨을 밝혔으며, 분화단계에서 전사체의 발현 패턴을 4가지 그룹으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보이는 유전자의 기능적 특성을 함께 밝혔음. 이로부터 NFIL3가 호염구의 고유 기능 획득에 중요한 전사인자임을 규명하였음 (BioRender를 활용하여 그림) >

 

이어호염구의 분화단계에 따라 발현이 변화하는 전사인자 NFIL3를 확인하였고, NFIL3 단백질이 호염구의 말단 분화단계에서 IgE 수용체 활성화에 따라 유도된 호염구의 기능적 특징을 부여하는 중요 인자임을 규명하여 보고하였다또한호염구 특이적으로 NFIL3가 결손된 마우스를 이용하여호염구 내 NFIL3 단백질이 아토피성 피부 질환의 염증 반응을 조절함을 밝혔다. 

연구팀은 이행 호염구가 성숙 호염구에 비해 사이토카인 생성 능력이 뛰어남을 추가로 확인하였으며사이토카인 자극의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제2형 면역반응 사이토카인을 생성함을 밝혔다이러한 차별적 사이토카인 생성 능력은 호염구에서는 최초로 발견된 것으로추후 호염구 매개 질환에서 그 작용기전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지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강석조 교수는 호염구의 말단 분화과정의 중요 전구세포를 발견하고 호염구의 기능적 전문성을 획득하는 다이나믹한 과정을 밝힌 연구라고 언급하면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새로운 지식은 호염구가 매개하는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이해와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면역학 및 알레르기 분야의 세계 최고 국제 학술지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 저널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에 10월 1일 字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 The transcription factor NFIL3/E4BP4 regulates the developmental stage-specific acquisition of basophil function). KAIST 생명과학과 강석조 교수 연구팀 박지연 박사조유리 박사(現 LG화학)가 공동 제저자로 연구를 주도하였고바이오및뇌공학과 양동찬 박사생명과학과 양한슬이대엽 교수팀, RIKEN Masato Kubo 교수 연구팀이 함께 참여하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3245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0 허원도 교수, Mol Cell 과 JMCB 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2.06.11 15750
419 허원도 교수, Mai Khanh Nguyen 박사과정 학생 Nature Chemical Biology 논문 게재(2016.04) / Prof. Won Do Heo and Mai Khanh Nguyen Ph.D. published a paper in a Nature Chemical Biology(2016.04) 생명과학과 2016.04.12 13825
418 허원도 교수, ECLIPSE 기술 개발 PNAS지 게재 과사무실 2010.02.09 13319
417 허원도 교수, Chemistry & Biology지 표지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4.07.22 17265
416 허원도 교수, 2017년도 4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으로 선정 생명과학과 2017.02.07 17553
415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1115
414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890
413 한진희 교수님 실험실 (김지은 Post-doc, 권정태 박사과정) Nature Neuroscience 개제 과사무실 2014.01.21 15909
412 한진희 교수, 원혜정 학생(김은준 교수 Lab) 2009' 청암 과학펠로 선정! 과사무실 2009.11.27 15322
411 한진희 교수, 선천적 공포 반응에 대한 신경회로 첫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18.08.08 11729
410 한용만 교수(박상욱 박사과정), Blood 지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0.11.19 15524
409 한국, 신종 박테리아 발표건수 68종 세계 1위 - 이성택 교수 세계 2위 과사무실 2005.12.19 13962
408 학사과정 김혜림, 국립암센터 인턴쉽 포스터발표 최우수상 수상 과사무실 2010.09.07 13925
407 학사과정 김유나 학생, 2008학년도 인성장학생으로 선정! 과사무실 2008.12.09 15495
406 학사과정 강병권 학생, 2009년 인성장학생 공로부문 선정! 과사무실 2010.01.08 12832
405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781
404 최준호 교수, 한전 석좌교수로 임명 과사무실 2011.09.08 11980
403 최준호 교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 취임 / Professor Joonho Choe is augurated as the chairman of KSMCB 생명과학과 2016.01.05 11831
402 최준호 교수,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과사무실 2012.09.18 15993
401 최준호 교수, <디아이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11.04.06 1241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